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2
어제:
289
전체:
769,349

磨斧作針

2013.01.27 13:06

홍석균 조회 수:3727

磨(갈 마)斧(도끼 부)作(만들 작)針(바늘 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이니,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매달리면 마침내 달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백은 시선이라고까지 추앙받는 당나라 때의 대표적 시인이며, 자는 태백이다.
그는 다섯 살 때 아버지를 따라 촉 땅에 가서 어린 시절을 보냈는데, 열 살에 시와 글씨에는 어른을 능가할 정도의 특출한
재능을 보였지만, 정작 공부는 재능에 어울릴 정도의 열성이 없었다.
아버지는 그에게 훌륭한 스승을 붙여 주어 상의산에 들어가 학문에 정진하게 했지만, 그는 따분한 산 생활과 끝도 없는
글 읽기가 진력이 나서 견딜 수 없었다.
"이미 다 아는 글을 더 이상 읽어서 뭘 해"
이렇게 생각한 이백은 스승 몰래 산을 내려가기로 결심했다.
아버지한테 야단을 맞고 말고는 다음의 문제였다.
그래서 집을 향해 한참 가는데 어느 냇가에 이르러 보니 한 노파가 물가에 앉아 바윗돌에다 도끼를 갈고 있었다.
이백은 호기심이 생겨 물어 보았다.
"할머니, 지금 뭘 하고 계세요?"
"바늘을 만들고 있단다."
"아니, 그 도끼로 바늘을 만들어요?"
"그래, 돌에다 갈고 또 갈아 가늘게 만들면 바늘이 되지 않겠니"
그 말을 듣고 이백은 깔깔 웃었다.
"참 할머니도, 그 도끼를 도대체 언제까지 갈아야 바늘처럼 가늘게 만들 수 있다는 거예요?"
"웃긴 왜 웃느냐.
열심히 갈다 보면 도낀들 바늘로 만들지 못할 리가 어디 있어.
도중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순간, 이백은 뒤통수를 세게 얻어맞은 느낌이 들었다.
"그렇다.
노력해서 안 될 일이 어디 있는가.
처음부터 시도하지 않는 것이 문제일 뿐이고, 더욱 나쁜 것은 하다가 끝장을 보지도 않고 그만두는 짓이다."
이렇게 깨달은 이백은 집으로 가려던 마음을 돌이켜 산으로 도로 올라갔다.
그리고  그 후 마음이 해이해질 때마다 노파를 떠올리며 분발하곤 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4583
156 亡國之音 [1] 홍석균 2013.02.01 3358
155 시련 이규 2013.02.01 3364
154 萬全之策 홍석균 2013.01.31 3545
153 성공은 감사의 표현 횟수와 비례한다. 이규 2013.01.31 3451
152 萬事休矣 홍석균 2013.01.30 3383
151 일이 많고 힘들다고 죽는 사람은 없다. [2] 이규 2013.01.30 3381
150 萬死一生 [1] 홍석균 2013.01.29 3415
149 낙관론자와 비관론자의 차이 이규 2013.01.29 3356
148 馬耳東風 홍석균 2013.01.28 3243
147 인류가 진보를 계속해온 까닭 이규 2013.01.28 3434
» 磨斧作針 [1] 홍석균 2013.01.27 3727
145 登龍門 홍석균 2013.01.26 3358
144 得隴望蜀 홍석균 2013.01.25 3335
143 지옥으로 향하는 가장 안전한 길 이규 2013.01.25 3367
142 斗酒不辭 [1] 홍석균 2013.01.24 3322
141 불가능한 것에 도전하는 즐거움 이규 2013.01.24 3427
140 杜漸防萌 홍석균 2013.01.23 3654
139 혼란은 발전을 편안함은 퇴보를 가져온다. 이규 2013.01.23 3644
138 董狐之筆 홍석균 2013.01.22 3769
137 mental block buster 이규 2013.01.22 3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