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72
어제:
760
전체:
742,115

오기(吳起)는 위(衛)나라 사람으로 용병(用兵)을 좋아했다. 일찍이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魯)나라의 국군을 섬겼다. 제(齊)나라 사람이 노나라를 공격하자 노나라가 오기를 장수로 삼고 싶었으나 오기가 제나라의 여자를 아내로 얻었기 때문에 노나라가 이를 의심했다. 이에 오기는 명성을 얻고 싶어 그 아내를 죽이고 제나라를 돕지 않겠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노나라가 마침내 장수로 삼으로 군대를 이끌고 제나라를 공격하여 대파했다.

노나라 사람 누군가가 오기에 대해 “오기란 위인은 잔인합니다. 젊었을 때 집에 천금을 쌓아놓고 여러 곳을 돌며 벼슬을 구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가산만 다 날렸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비웃자 오기는 자신을 비방한 자 30여 명을 죽이고 도성 동쪽 성문을 통해 달아났습니다. 어머니와 헤어지면서 팔을 깨물며 맹서하길 ‘오기가 경상(卿相)이 못 되면 다시는 위나라로 들어오지 않겠습니다’라고 했습니다. 드디어 증자를 모셨고, 얼마 뒤 어머니가 죽었는데도 오기는 끝내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증자가 그를 멸시하여 오기와의 관계를 끊었습니다. 오기는 노나라로 와서 병법을 배워 노나라의 국군을 섬겼는데 노나라의 국군께서 그를 의심하자 오기는 아내를 죽이고 장수 자리를 구걸했지요. 노나라가 작은 나라로 전투에서 승리했다는 명성을 얻었으니 제후들이 노나라를 도모하려 할 것입니다. 그리고 노나라와 위나라는 형제의 나라입니다. 국군께서 오기를 기용하는 것은 위나라를 버리는 것입니다.”라고 헐뜯었다.

노나라의 국군이 의심하여 오기를 물리쳤다.

이에 오기는 위(魏)나라 문후(文侯)가 현명하다는 말을 듣고는 그를 섬기고자 했다. 문후는 이극(李克)에게 “오기가 어떤 사람입니까?”라고 물었고, 이극은 “오기는 욕심이 많고 색을 밝히지만 용병은 사마양저(司馬穰苴)도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라고 했다. 위나라 문후는 (오기를) 장수로 삼아 진(秦)나라를 공격하여 다섯 개 성을 함락했다.

장수로서 오기는 사졸들 중 가장 낮은 자들과 함께 입고 마셨다. 잘 때는 이불 따위를 깔지 않았고, 행군 때 말이나 수레를 타지 않았다. 식량도 직접 지고 다니면서 사졸들과 노고를 함께 나누었다. 종기가 난 병졸이 있었는데 오기는 그것을 입으로 빨았다.

병졸의 어머니가 그 이야기를 듣고는 통곡을 했다. 어떤 사람이 “아들은 졸병이고, 장군이 직접 그 종기를 입으로 빨아 주었다는데 왜 우는 거요?”라고 했다. 어머니는 “그렇지 않소. 왕년에 오공께서 그 아이 애비의 종기를 빨아 주었는데 그 아이 애비는 전투에서 뒤도 안 돌아보고 싸우다 마침내 적진에서 전사했소. 오공이 지금 또 그 아들의 종기를 빨아주었으니 나는 그 아이도 언제 어디서 죽을지 몰라 이렇게 우는 것이라오!”라고 했다.

문후는 오기가 용병에 능한데다 청렴하고 공평하여 병사들의 마음을 제대로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여 서하(西河) 태수로 삼아 진(秦)나라, 한(韓)나라를 막도록 했다.

위나라 문후가 죽고, 오기는 그 아들 무후(武侯)를 섬겼다. 무후는 서하에서 배를 타고 가다가 중간쯤에서 고개를 돌려 오기에게 “아름답구나! 이 견고한 산하야말로 위나라의 보물이로다!”라고 했다. 오기가 “ (군주의) 덕에 달려 있지 험준함에 달린 것이 아닙니다. 옛날 삼묘씨(三苗氏)는 왼쪽으로 동정호(洞庭湖), 오른쪽으로 팽려호(彭蠡湖)를 가지고 있었지만 덕과 신의를 닦지 않아 우(禹)나라에게 멸망당했고, 하나라의 걸은 왼쪽으로는 황하와 제수(濟水), 오른쪽으로는 태산(泰山)과 화산(華山), 남쪽으로는 이궐(伊闕), 북쪽으로는 양장(羊腸)을 갖고도 어진 정치를 하지 않아 탕(湯)에게 추방당했습니다. 은주(殷紂)의 나라는 왼쪽으로 맹문(孟門), 오른쪽으로 태행산(太行山), 북쪽으로 상산(常山)을 끼고 남쪽으로는 황하가 흘렀지만 부덕한 정치를 하다가 무왕(武王)에게 죽었습니다. 이렇게 보면 덕에 달렸지 험준함에 달린 것이 아닙니다. 국군께서 덕을 닦지 않으시면 배 안의 사람이 모두 적이 될 것입니다!”라고 했다. 무후는 “좋은 말씀입니다!”라고 했다.

오기가 서하 태수로서 명성이 대단했다. 위나라가 상(相)을 두면서 전문(田文)을 상으로 삼았다. 오기가 기분이 나빠 전문에게 “그대와 공을 한 번 논해보고자 하는데 괜찮겠소?”라고 하니 전문이 “좋습니다.”라고 했다. 오기가 “삼군(三軍)의 장수가 되어 사졸들을 기꺼이 죽을 수 있게 만들고, 적국이 감히 넘보지 못하게 하는 것이라면 그대와 이 오기 중 누가 낫소?”라고 했다. 전문이 “그대만 못하지요.”라고 했다. 오기가 “백관을 다스리고 만민들과 친하게 지내며 창고를 든든하게는 일은 그대와 이 오기 누가 낫소이까?”라고 했다. 전문은 “그대만 못하지요.”라고 했다. 오기가 “서하를 지켜서 진나라의 군대가 감히 동쪽 지방을 넘보지 못하게 하고, 한나라와 조나라를 복종시키는 일은 그대와 오기 누가 낫습니까?”라고 했다. 전문은 “그대만 못하지요.”라고 했다. 오기는 “이 세 가지에서 그대는 모두 나보다 못한데 자리는 나보다 위에 있으니 왜 그렇소?”라고 했다. 전문이 “군주는 어리고 나라는 불안하며, 대신들은 따르지 않고 백성들은 믿지 않습니다. 이런 시기라면 그 자리가 그대에게 낫겠습니까, 제게 낫겠습니까?”라고 했다. 오기가 한참 말이 없다가 “그대가 낫소이다.”라고 했다. 전문이 “그것이 내가 그대보다 윗자리에 있는 까닭입니다.”라고 했다. 이에 오기는 자신이 전문만 못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문이 죽자, 공숙(公叔)이 재상이 되었는데, 위(魏)나라의 공주를 아내로 얻고도 오기를 시기했다. 공숙의 노복이 “오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라고 했다. 공숙이 “어떻게?”라고 묻자 노복은 이렇게 말했다.

“오기란 위인은 절개가 있고 청렴하며 자신의 명예를 중시합니다. 군께서는 먼저 무후께 ‘오기는 유능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주군의 나라는 작고 강한 진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신은 오기가 머무를 마음이 없으면 어쩌나 이것이 걱정입니다’라고 말하십시오. 그러면 무후께서는 ‘어찌 하면 좋겠소’라고 하실 겁니다. 군께서는 그 때 무후께 ‘시험 삼아 공주를 짝지어 주겠다고 하십시오. 오기에게 남을 마음이 있으면 틀림없이 받아들이겠지만 그럴 마음이 없다면 분명 사양할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판단하면 됩니다’라고 하십시오. 그런 다음 군께서는 오기를 초대하여 집에 가서 공주를 화나게 하여 군을 마구 대하게 하십시오. 공주께서 군을 깔보는 것을 오기가 보게 되면 틀림없이 사양할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오기는 공주가 위나라의 상을 천시하는 것을 보게 되었고, 아니나 다를까 위나라 무후의 제안을 거절했다. 무후가 오기를 의심하여 신임하지 않았다. 오기는 죄를 받을까 두려워 마침내 (위나라를) 떠나 초나라로 갔다.

초나라 도왕(悼王)이 평소 오기가 유능하다는 말을 들었는데, (오기가) 오자 바로 초나라의 상으로 삼았다. (오기는) 법을 분명하고 명령을 잘 따져 급하지 않은 관직을 없애고 멀어진 공족들의 (특권 등을) 폐지하여 전투 병사들을 길렀다. 강한 군대를 만들고 유세를 일삼는 종횡가(縱橫家)들을 내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렇게 해서 남으로는 백월(百越)을 평정하고, 북으로는 진(陳)나라, 채(蔡)나라를 아울러 삼진(三晉)을 격퇴했으며, 서쪽으로는 진(秦)나라를 정벌하니 제후들이 초나라가 강해지는 것을 걱정했다.

이전 초나라의 귀족들은 모두 오기를 해치려 했다. 도왕이 죽자 종실 대신들이 난을 일으켜 오기를 공격했다. 오기는 도망쳐 왕의 시신 위에 엎어졌다. 오기를 공격하는 무리들이 오기에게 화살을 날리고 칼로 찔렀는데, 도왕의 시신도 맞추었다. 도왕의 장례를 치르고 태자가 즉위해서는 영윤(令尹)에게 오기에게 화살을 쏘고 칼로 찌르면서 왕의 시신을 쏜 자들을 모조리 죽이게 하니 오기의 사살에 연루되어 멸족 당한 집안이 70이 넘었다.

<사마천의 논평>
태사공은 이렇게 말한다.
“세상에서 군대 일을 말하는 사람들은 모두 『손자(孫子)』 13편과 『오기병법(吳起兵法)』을 말한다. 또 세상에 많이 나와 있으므로 논하지 않고 그들이 이루어 놓은 일만 거론해둔다. ‘행동을 잘 하는 사람이 말까지 잘 하는 것은 아니며, 말을 잘 하는 자가 꼭 행동까지 잘 하는 것은 아니다’는 말이 있다. 손빈이 방연에게 쓴 책략은 훌륭했지만 당초 형벌이라는 재앙에서 자신을 구하지는 못했다. 오기가 무후에게 (산천의) 형세가 덕만 못하다고 했지만 초나라에 가서 각박하게 은혜를 베풀지 않다가 그 몸이 죽었으니 슬픈 일이다!

분류 :
사마천_사기
조회 수 :
4485
등록일 :
2017.07.26
12:36:40 (*.131.135.244)
엮인글 :
http://www.potoland.net/xe/357895/71a/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potoland.net/xe/357895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옵션 :
: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子貢 leekyoo 2017-09-05 3511
23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宰我 leekyoo 2017-09-03 3141
22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宰予 leekyoo 2017-08-18 3728
21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子路 leekyoo 2017-08-17 4984
20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冉求 leekyoo 2017-08-11 5021
19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염경과 염옹 leekyoo 2017-08-07 4963
18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閔損 leekyoo 2017-08-06 4092
17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_顔回 leekyoo 2017-08-04 4260
16 사마천_사기 열전_권67_仲尼弟子列傳 [1] LeeKyoo 2017-08-02 5392
15 사마천_사기 열전_권66_伍子胥列傳 leekyoo 2017-07-28 3829
» 사마천_사기 열전_권65_손자오기열전_吳起 leekyoo 2017-07-26 4485
13 사마천_사기 열전_권65_손자오기열전_孫臏 leekyoo 2017-07-25 5464
12 사마천_사기 열전_권65_손자오기열전_손무 leekyoo 2017-07-24 8391
11 사마천_사기 열전_권64_사마양저열전 leekyoo 2017-07-23 5402
10 사마천_사기 열전_권63_노자한비열전_韓非子 leekyoo 2017-07-22 3811
9 사마천_사기 열전_권63_노자한비열전_申不害 leekyoo 2017-07-21 5566
8 사마천_사기 열전_권63_노자한비열전_장자 셀라비 2017-07-20 4214
7 사마천_사기 열전_권63_노자한비열전_노자 leekyoo 2017-07-19 4276
6 사마천_사기 열전_권62 관안열전_ 안영 셀라비 2017-07-18 4131
5 사마천_사기 열전_권62 관안열전_ 관중 셀라비 2017-07-17 7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