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0
어제:
1,101
전체:
763,533

崩壞

2013.01.13 16:04

이규 조회 수:1121

崩 산무너질 붕
壞 흙무너질 괴

崩壞-산과 흙이 무너짐


崩은 山과 벗 붕(朋)의 結合이다.  典型的인 형성자(形聲字)로 山이 ‘붕!’하고 무너지는 소리를 본 떠 만든 글자이다.  山이 무너지면 굉음(轟音)과 함께 그곳의 돌이나 나무, 풀도 함께 매몰(埋沒)된다.  그래서 崩은 天子의 죽음을 象徵하기도 한다.  여기서 나온 말에 붕어(崩御)가 있다.  諸葛亮이 蜀의 後主 劉禪(劉備의 아들)에게 올린 出師表를 보면 그 첫머리에 劉備의 죽음에 대해 언급한 대목이 나온다.
   “先帝께서 創業하신 뒤 半도 이루지 못하고 붕조(崩俎)하시고 …”
  壞는 土와 회(  )의 결합이고   에는 ‘옷’을 뜻하는 衣가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물건을 몰래 훔쳐 옷속에 감춰두고 있는 形狀이다.  그래서 ‘품다’, ‘간직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는 것이 懷(생각할 회, 품을 회)다.  그런데 물건을 잃은 쪽에서는 허전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서 懷는 ‘망치다’, ‘텅비다’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흙이나 땅이 텅비어 있는 것이 壞다.  그 땅은 무너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壞 역시 ‘무너지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壞死, 破壞등의 말이 있다.   따라서 崩壞의 본디 뜻은 ‘산이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이다.  옛날의 경우 그것은 대체로 洪水나 地震 등과 같은 天災地變 때문에 일어났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지금의 崩壞는 人災로 나타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205
483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34
482 至孝 이규 2012.10.29 1955
481 審判 이규 2012.10.30 1873
480 景福 셀라비 2012.10.31 1467
479 省墓 이규 2012.11.01 1479
478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05
477 光化門 이규 2012.11.03 1683
47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494
475 復舊 이규 2012.11.05 1605
474 城郭 이규 2012.11.06 1552
473 國會 이규 2012.11.07 1891
472 閏月 이규 2012.11.08 2918
471 割據 셀라비 2012.11.09 1444
470 寒心 이규 2012.11.10 1823
469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685
468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25
467 世代 이규 2012.11.13 1576
466 慢慢的 이규 2012.11.15 1527
465 聖域 이규 2012.11.16 1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