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13
어제:
949
전체:
737,722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241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243
» 杜 撰 셀라비 2014.07.10 1241
122 省墓 이규 2012.11.01 1241
121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241
120 秋霜 이규 2013.02.04 1240
119 似而非 이규 2013.03.21 1239
118 菽麥 이규 2013.02.02 1238
117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237
116 割據 셀라비 2012.11.09 1235
115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235
114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233
113 頭 角 이규 2013.06.07 1232
112 颱 風 이규 2013.07.12 1232
111 師表 이규 2013.02.04 1231
110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225
109 戰 國 이규 2013.06.09 1224
108 兩立 이규 2012.12.13 1223
107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220
106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216
105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