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85
어제:
398
전체:
754,550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477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643
303 獨 對 이규 2013.12.08 1642
302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639
301 梅 雨 이규 2013.07.11 1637
300 角 逐 셀라비 2013.11.14 1637
299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633
298 咫 尺 LeeKyoo 2013.12.15 1632
29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626
296 坐 礁 이규 2013.07.09 1623
295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623
294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621
293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621
292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617
291 完璧 셀라비 2014.03.12 1614
290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614
289 非 理 이규 2013.09.26 1613
288 朝 野 이규 2013.08.14 1611
287 痼 疾 이규 2013.11.07 1611
286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611
285 돌팔이 셀라비 2015.04.10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