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27
어제:
1,053
전체:
753,801

한자 蹴 鞠

2013.07.16 21:15

이규 조회 수:1835


蹴찰축
鞠찰국


 삼국시대부터 성행한 공차기

 


  우리나라  三國時代때  盛行했던  공차기에  蹴鞠이라는 것이 있었다.일명 타구(打毬)․농주(弄珠),또는 기구(氣毬)라고도 했는데, 쇠가죽 속에 털이나 겨를 넣어  공처럼 만들어 찼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도 김유신(金庾信)이 젊었을 때 김춘추(金春秋)와  蹴鞠을 하다 그만 잘못해 그의 옷자락을 밟는 바람에 옷고름을 찢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 中國 『구당서(舊唐書)』에는 高句麗 사람들이 蹴鞠에 뛰어 났다고 기록돼 있다.이렇게 볼 때 우리 祖上들은 일찍부터 공차기에 能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朝鮮時代에 오면 兩班이 공을 찬다는 것은 경거망동(輕擧妄動)에 該當되었으므로 일부 젊은이나 軍隊에서 연무(鍊武)의 方便으로 행해졌을 뿐이다.
  近世에 들어와 공차기는 가을걷이가 끝난 논에서 널리 행해졌다.지금처럼 공이 흔하지 않았으므로 그저 새끼줄을 둥글게 말아서 차기도 했으며,소나 돼지의 「오줌통」에  바람을 불어넣어 차기도 했다.그래서 혹 名節이 가까워 돼지라도 잡으면 동네 어린이들이 몰려들곤 했다.
  개화(開化) 이후 西洋式 공차기가 傳來돼 축구(蹴球)라 불리게 되었다.不過 1백여년 전의 일이다. 이래저래 우리는 일찍부터 공차기에 能했고, 또 즐긴 民族이었음을  알 수 있다.그래서인지 韓國  蹴球는 이제 아시아 頂上에 우뚝 섰다.게다가 2002년 월드컵 개최권(開催權)까지 따내 바야흐로 축구중흥(蹴球中興)․국운융성(國運隆盛)의  계기(契機)가 到來한 느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杜鵑花 이규 2013.02.13 1556
203 痼 疾 이규 2013.11.07 1556
202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557
201 非 理 이규 2013.09.26 1558
200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558
199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559
198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559
197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559
196 紅 塵 셀라비 2014.03.09 1560
195 富 貴 셀라비 2014.06.16 1563
1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563
193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565
192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565
191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565
190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566
189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570
188 坐 礁 이규 2013.07.09 1579
187 角 逐 셀라비 2013.11.14 1582
186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584
185 火 箭 이규 2013.08.20 1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