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9
어제:
398
전체:
754,634

格物致知

2013.04.04 06:39

이규 조회 수:1464

格바를격
物만물물
致이를치
知알지


 군자가 되기 위한 인격수양 방법


  宋나라는 人倫과 忠節을 바로 세우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래서 四書(大學, 中庸, 論語, 孟子)를 만들어 君子의 필독서로 삼았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大學]에 보면 君子가 되기 위한 八條目(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이 나오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格物과 致知는 옛날부터 해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맨 처음 그 해법을 제시한 이는 朱子였다.  ‘만물은 모두 理致를 가지고 있는 바, 그 이치를 하나 하나 케들어 가면 활연(豁然)히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하면서 格物致知를 ‘사물의 이치를 窮究함으로써 지식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해석했다.
   明나라 때 王陽明은 朱子의 가르침대로 정원의 대나무를 며칠 밤낮을 두고 응시하면서 대{竹}의 이치를 케고자 하다가 7일만에 졸도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는 朱子學에 의문을 품었다.  대나무 한 그루의 이치도 풀지 못하는데 사물의 모든 이치를 터득할 수 있을까?  차라리 마음을 닦아 실제 행동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格物致知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朱子學과 陽明學의 탄생인 것이다.  格物致知의 정확한 해석을 구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저 ‘인격을 수양해 君子 또는 聖人이 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면 어떨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998
483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001
482 籠絡 이규 2013.01.15 1001
481 傾盆 셀라비 2013.01.31 1001
480 香肉 이규 2013.01.25 1004
479 解體 이규 2013.01.31 1006
478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013
477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17
476 以卵投石 이규 2012.11.21 1018
475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019
474 納凉 이규 2013.01.23 1020
473 伯仲勢 이규 2013.01.16 1029
472 出師表 이규 2013.01.18 1031
471 端午 이규 2012.11.18 1033
470 戰戰兢兢 이규 2012.11.25 1035
469 輻輳 이규 2013.01.02 1037
468 一字千金 이규 2012.11.20 1038
467 食言 lkplk 2013.01.29 1043
466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054
465 左遷 이규 2013.01.17 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