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1
어제:
1,186
전체:
764,770

한자 物 色

2013.11.05 21:49

이규 조회 수:1805

物 色

만물

 

 

말을 고를때 털색을 본데서 유래

 

 

은 소()와 무늬()結合으로 본디 얼룩 소를 뜻했다.얼룩소의털은 서로 다른 으로 混合돼 있는데다 무늬도 제각각 多樣하다.그것은 이 世上存在하는 事物도 마찬가지다.그래서 은 사물(事物)도 뜻하게 되었으며, 그 수가 워낙 많고 多樣하다 하여 만물(萬物)이라고 불렀다.

은 본디 사람의 눈썹과 關係되는 글자다.그래서 模襲와 비슷하지 않은가.여기서 은 눈이며 은 털의 모습으로 눈위에 털이 나 있는것을 뜻한다.은 눈썹 부분()에 주름이 나 있는 것이다.그래서 본디 뜻은 兩眉間에 나타난 마음의 狀態.안색(顔色)이라는 말이 있다.

사람의 마음도 처럼 多樣하기 그지 없다.그래서 이번에는 事物을 나타낸 뜻으로도 사용돼 색깔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物色의 본뜻은얼룩소의 색깔이며, 후엔사물의 색깔로 바뀐 셈이다.

마질(馬質)은 주()나라때 宮中의 말을 管理하던 職責이다.간혹 民間에서융마(戎馬전투용)전마(田馬농사용)노마(駑馬잡역용)등을 사들이기도 했다.그런데 馬質이 말을 고르는 데에는 要領이 있었다.말의 털 색깔(馬色)을 보고 判斷했던 것이다.이때부터 사람들은 人才事物을 고르는 것도 物色이라고 했는데 事實馬色인 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89
483 以卵投石 이규 2012.11.21 1092
482 籠絡 이규 2013.01.15 1097
481 香肉 이규 2013.01.25 1097
480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101
479 傾盆 셀라비 2013.01.31 1101
478 一字千金 이규 2012.11.20 1108
477 解體 이규 2013.01.31 1109
476 戰戰兢兢 이규 2012.11.25 1117
475 端午 이규 2012.11.18 1118
474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121
473 納凉 이규 2013.01.23 1127
472 伯仲勢 이규 2013.01.16 1131
471 輻輳 이규 2013.01.02 1133
470 食言 lkplk 2013.01.29 1136
469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142
468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154
467 崩壞 이규 2013.01.13 1156
466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60
465 左遷 이규 2013.01.17 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