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83
어제:
1,101
전체:
763,386

한자 庭 訓

2014.01.03 21:42

이규 조회 수:1692

庭 訓

곧을

가르칠

 

 

뜰에서 가르치거나 가르침을 받음

 

 

정훈庭訓 뜰에서 가르친다거나 가르침을 받는다는 뜻이다그러니까 父母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경우가 되겠다貴族 專有物이었던 敎育 平民에게까지擴大 이는 공자孔子였다그의 뜻을 繼承 맹자孟子역시 敎育 매우重視했으며 「敎育이라는 말이 그로부터 나왔다현재  3국의 敎育熱 높은 것도  孔子 孟子와 관계가 있다

 孔子 敎育 임했던 原則 하나 있었다유교무류有敎無類), 열심히 가르치되 差別 두지 않는 것이었다심지어 그는 自己 아들조차 一般 弟子 다름없이 가르쳤다그의 弟子중에 진항陳亢 있었다그는 스승께서 當身 아들인 백어伯魚만은 남다르게 가르쳤을 거라고 여기고 있었다그래서伯魚에게 물어 보았다

스승으로부터 특별한 가르침이라도 받은  있소?』 『아니오, 그저 뜰에 앉아 계실   앞을 지나가는데 불러 세우시고는 시  强調했을 뿐입니다.』 意外 對答 듣고 陳亢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공연히 疑心 품었던 자신이 부끄러울 뿐이었다孔子有敎無類精神 아들이라고例外 없었던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631
283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633
282 過猶不及 셀라비 2014.02.25 1634
281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638
280 明 堂 셀라비 2014.04.15 1639
279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641
278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44
277 鼻 祖 셀라비 2014.03.17 1644
276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644
275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644
274 茶 禮 셀라비 2014.01.09 1646
273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647
272 讀 書 이규 2013.06.30 1648
271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648
270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648
269 鷄 肋 이규 2014.05.15 1654
268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657
267 自 治 이규 2013.09.18 1658
266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660
265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