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44
어제:
1,101
전체:
763,647

한자 枕流漱石

2014.08.30 20:47

셀라비 조회 수:1425

枕流漱石

베개

흐를

양치질

시냇물을 베개 삼고 돌로 양치질함

곧 억지 부림을 뜻함

나라 初期에 손초(孫楚)라는 사람이 있었다. 대대로 높은 벼슬의 家門에서 태어나 남보다 글 才能이 뛰어났다. 人才 登用官 대중정(大中正)孫楚所聞을 듣고 孫楚의 친구 왕제(王濟)를 찾아가 그의 인물 됨됨이에 관해 여러가지를 물었다. 王濟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는 貴公直接 보고서 알 수 있는 인물이 아니오. 孫楚天才的인 놀라운 사람, 여느 사람같이 다루어서는 아니되오.”

孫楚는 젊어서 당시의 죽림칠현(竹林七賢) 등의 影響을 받아 俗世를 떠나 山林 속에 들어가 老莊思想, 淸談 등을 하며 지내려 하였다. 으로 떠나기에 앞서 친구 王濟를 찾아가 자기의 생각을 이야기 하였다. 그런데, “돌을 베개 삼고 시냇물로 양치질하는 生活을 하며 지내고 싶다(枕石漱流).”고 해야 할 것을 그만 失言하여 돌로 양치질하고 시냇물을 베개 삼는다.”고 말이 나와 버렸다. 이말을 들은 王濟이 사람아, 어찌 시냇물로 베개 삼을 수 있으며, 돌로 양치질 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그러자 孫楚는 즉시 應酬하였다. “시냇물을 베개 삼는다는 것은 옛날 은사(隱士) 허유(許由)와 같이 쓸데없는 말을 들었을 때 귀를 씻으려 한다는 것이며, 돌로 양치질 한다는 것은 이를 닦으려는 것일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品 評 셀라비 2014.06.24 1725
103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674
102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677
101 洞 房 셀라비 2014.07.02 1738
100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44
99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57
98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48
97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23
96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60
95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44
94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733
93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19
9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25
91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79
9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68
8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32
88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32
87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42
8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89
»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