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4
어제:
1,186
전체:
764,643

至孝

2012.10.29 19:41

이규 조회 수:1975

至 지극할 지
孝 효도   효

 

지효- 지극한 효성

 

至孝는 ‘지극한 효성’이다. ‘大孝’라고도 한다.
 曾子는 孔子의 3천 제자중 에서도 首弟子로 꼽힌다.  다소 둔하기는 했지만 孝行 하나만은 뛰어나 孔子가 더욱 가르침을 주어 [孝經]을 짓도록 하였다.
 자연히 孝에 관한 일화(逸話)도 많다. 한번은 참외밭을 매다 뿌리를 뽑았다고 하여 아버지로 부터 몽둥이로 맞아 까무러치고 말았다.  그러나 曾子는 웃는 빛을 띠면서 말했다.  “너무 힘껏 훈계(訓戒)하셔서 혹 病患이나 나시지 않으셨습니까” 하고는 거문고를 타면서 신나게 노래를 불렀다.
 그러나 스승 孔子는 ‘불효 막심한 놈’이라고 야단쳤다.  그러다 정말 죽었다면 이보다 더한 不孝는 없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  이쯤되면 孔子의 孝는 한차원 더 높은 셈이다.
 또 齊나라에서 그를 불렀지만 늙은 父母를 모시고 있다면서 拒絶했는가 하면 아내가 부모의 朝夕床에 덜 익힌 나물을 올렸다고 해서 쫒아내고는 평생을 獨身으로 지내기도 했다.
 물론 극단적인 예가 되겠지만 시사(示唆)하는 바가 적지 않다.  父母를 서로 모시지 않겠다고 하여 문제가 심각하자 남이 扶養한 다음 扶養費를 請求할 수 있도록 立法 조치를 講究 한적도 있었다.  曾子를 參考로 하였으면 좋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90
10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990
102 發祥地 이규 2013.10.20 1992
10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002
100 改 閣 이규 2013.08.26 2005
99 苦 杯 이규 2013.08.03 2010
98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012
97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018
96 人 倫 이규 2013.07.29 2021
95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21
94 사리 셀라비 2015.04.18 2024
93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25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2031
91 問 鼎 이규 2013.11.23 2032
90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033
89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040
88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40
87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52
86 千字文 이규 2013.10.12 2056
85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