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09
어제:
1,309
전체:
761,101

한자 枕流漱石

2014.08.30 20:47

셀라비 조회 수:1351

枕流漱石

베개

흐를

양치질

시냇물을 베개 삼고 돌로 양치질함

곧 억지 부림을 뜻함

나라 初期에 손초(孫楚)라는 사람이 있었다. 대대로 높은 벼슬의 家門에서 태어나 남보다 글 才能이 뛰어났다. 人才 登用官 대중정(大中正)孫楚所聞을 듣고 孫楚의 친구 왕제(王濟)를 찾아가 그의 인물 됨됨이에 관해 여러가지를 물었다. 王濟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그는 貴公直接 보고서 알 수 있는 인물이 아니오. 孫楚天才的인 놀라운 사람, 여느 사람같이 다루어서는 아니되오.”

孫楚는 젊어서 당시의 죽림칠현(竹林七賢) 등의 影響을 받아 俗世를 떠나 山林 속에 들어가 老莊思想, 淸談 등을 하며 지내려 하였다. 으로 떠나기에 앞서 친구 王濟를 찾아가 자기의 생각을 이야기 하였다. 그런데, “돌을 베개 삼고 시냇물로 양치질하는 生活을 하며 지내고 싶다(枕石漱流).”고 해야 할 것을 그만 失言하여 돌로 양치질하고 시냇물을 베개 삼는다.”고 말이 나와 버렸다. 이말을 들은 王濟이 사람아, 어찌 시냇물로 베개 삼을 수 있으며, 돌로 양치질 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그러자 孫楚는 즉시 應酬하였다. “시냇물을 베개 삼는다는 것은 옛날 은사(隱士) 허유(許由)와 같이 쓸데없는 말을 들었을 때 귀를 씻으려 한다는 것이며, 돌로 양치질 한다는 것은 이를 닦으려는 것일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51
63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349
6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47
61 白 眉 셀라비 2014.09.26 1347
60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347
59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345
58 氾濫 이규 2012.12.26 1342
57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338
56 同盟 이규 2012.12.10 1327
55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327
54 園頭幕 이규 2013.02.02 1322
53 寸志 이규 2013.02.06 1321
52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21
51 波紋 이규 2013.01.27 1319
50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316
49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08
48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307
47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304
46 赦免 [1] 이규 2013.01.27 1301
45 分 野 이규 2013.05.20 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