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5
어제:
398
전체:
754,630

討 伐

2013.03.17 15:40

이규 조회 수:1373


討 칠토
伐 칠벌


 군대로 나쁜 무리를 침

 


  言語, 命令, 法律, 墳墓 등 비슷한 글자로 이루어진 單語들이 있다.  差異는 있지만 區別하지 않아도 無妨한 글자들이다.  그러나 大義名分이 걸려 있다면 嚴格하게 區別해야 한다.  一例로 같은 ‘죽음’을 뜻하는 漢字라도 天子가 죽으면 ‘崩’, 諸侯가 죽으면 훙(薨), 高官은 卒, 平民은 死가 된다.  물론 逆賊은 폐(斃)다.  일종의 개죽음이다.  諸葛亮이 [出師表]에서 劉備의 죽음을 두고 ‘崩조(붕조)’라고 表現한 것이 좋은 例다.
  宋의 歐陽修(1007~1072)는 大文章家이자 歷史家였다.  中國의 正史인 二十五史중 무려 두 권(新唐書, 新五代史)이 그의 손으로 쓰여졌다.  그가 歷史를 記述하면서 특히 重視했던 것은 大義名分였다.  그래서 글자 하나하나를 選擇하는데도 愼重에 愼重을 더했다.  예를 들어 戰爭의 境遇 攻은 雙方間의 戰鬪를 意味하고, 伐은 大國이 小國을 친 경우를 뜻한다.  또 討는 罪를 追窮하기 위해 相對方을 친 境遇, 征은 天子가 친히 戰爭에 參加한 境遇 등으로 區分했다.
  곧 討伐 두 자는 모두 ‘戰爭’을 뜻한다는 점에서는 共通이지만 微妙한 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武裝共匪에 대한 作戰을 두고 우리는 討伐로 表現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品 評 셀라비 2014.06.24 1564
103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488
102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516
101 洞 房 셀라비 2014.07.02 1531
100 投 抒 셀라비 2014.07.03 1481
99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467
98 杜 撰 셀라비 2014.07.10 1446
97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559
96 輓 歌 셀라비 2014.07.15 1682
95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453
94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562
93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372
9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291
91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614
9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684
8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375
88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659
87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378
8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311
85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