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6
어제:
1,334
전체:
747,202

討 伐

2013.03.17 15:40

이규 조회 수:1239


討 칠토
伐 칠벌


 군대로 나쁜 무리를 침

 


  言語, 命令, 法律, 墳墓 등 비슷한 글자로 이루어진 單語들이 있다.  差異는 있지만 區別하지 않아도 無妨한 글자들이다.  그러나 大義名分이 걸려 있다면 嚴格하게 區別해야 한다.  一例로 같은 ‘죽음’을 뜻하는 漢字라도 天子가 죽으면 ‘崩’, 諸侯가 죽으면 훙(薨), 高官은 卒, 平民은 死가 된다.  물론 逆賊은 폐(斃)다.  일종의 개죽음이다.  諸葛亮이 [出師表]에서 劉備의 죽음을 두고 ‘崩조(붕조)’라고 表現한 것이 좋은 例다.
  宋의 歐陽修(1007~1072)는 大文章家이자 歷史家였다.  中國의 正史인 二十五史중 무려 두 권(新唐書, 新五代史)이 그의 손으로 쓰여졌다.  그가 歷史를 記述하면서 특히 重視했던 것은 大義名分였다.  그래서 글자 하나하나를 選擇하는데도 愼重에 愼重을 더했다.  예를 들어 戰爭의 境遇 攻은 雙方間의 戰鬪를 意味하고, 伐은 大國이 小國을 친 경우를 뜻한다.  또 討는 罪를 追窮하기 위해 相對方을 친 境遇, 征은 天子가 친히 戰爭에 參加한 境遇 등으로 區分했다.
  곧 討伐 두 자는 모두 ‘戰爭’을 뜻한다는 점에서는 共通이지만 微妙한 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武裝共匪에 대한 作戰을 두고 우리는 討伐로 表現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165
383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279
38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299
381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251
380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281
379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237
378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150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287
376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435
» 討 伐 이규 2013.03.17 1239
374 跛行 이규 2013.03.18 1256
373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045
372 杜鵑 이규 2013.03.20 1807
371 似而非 이규 2013.03.21 1280
370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364
369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252
368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300
36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272
366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238
365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