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61
어제:
1,186
전체:
764,550

一字千金

2012.11.20 20:57

이규 조회 수:1089

一 한 일
字 글 자
千 일천 천
金 쇠 금

 

一字千金 손질할 필요없는 매우 고귀한 문장.

 

 

戰國末의 여불위(呂不韋)는 趙의 巨商이었다.  우연히 趙나라에 人質로 잡혀와 있던 秦의 公子 子楚를 만나게 된다. 

理財에 능했던 그는 첫눈에 반한 나머지 그를 投資의 對象으로 삼았다. 

金錢攻勢를 펴는가 하면 高官을 불러 파티를 열어주었으며 자신의 愛妾인 趙嬉까지 바쳤다. 

그의 勞力 德分에 子楚는 歸國해 王位에 오르게 되니 이가 장양왕(狀襄王)이다. 

후에 愛妾이 政이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아버지가 죽고 13세의 어린 나이로 王位를 繼承하니 이가 秦始皇이다. 

사실 그는 呂不韋의 아들이었다.
  그는 秦의 實勢가 되어 國政을 마음대로 料理했다. 

당시 大學者인 筍子가 亂世를 叱咤하는 글을 써서 이름을 날리자 自身도 질세라 食客을 시켜 무려 20만자가 넘는 大作을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하고는 [呂氏春秋]라고 했다. 

그는 이 책을 수도였던 咸陽의 城門에 陳列해 놓고는 방을 내걸었다.
  “누구든지 이 책의 내용에 첨삭(添削)할 수 있는 자에게는 한 자당 千金의 賞을 내린다” 

一見 사람을 無視하는 것 같기도 하지만 알고 보면 뛰어난 商術의 發露일 뿐이다. 

그는 이를 통해 더욱 奇拔한 頭腦를 가진 食客을 끌어 들이려고 했던 것이다.
  이후 一字千金은 ‘매우 高貴한 文章이나 著述’을 뜻하게 되었으며 內容이 너무도 完壁하여 손질할 必要가 없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70
483 香肉 이규 2013.01.25 1071
482 籠絡 이규 2013.01.15 1072
481 以卵投石 이규 2012.11.21 1079
480 傾盆 셀라비 2013.01.31 1080
479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81
478 解體 이규 2013.01.31 1088
» 一字千金 이규 2012.11.20 1089
476 伯仲勢 이규 2013.01.16 1097
475 戰戰兢兢 이규 2012.11.25 1099
474 納凉 이규 2013.01.23 1099
473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102
472 端午 이규 2012.11.18 1108
471 輻輳 이규 2013.01.02 1109
470 食言 lkplk 2013.01.29 1113
469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118
468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31
467 崩壞 이규 2013.01.13 1132
466 左遷 이규 2013.01.17 1136
465 出師表 이규 2013.01.18 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