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44
어제:
293
전체:
754,111

燕雀鴻鵠

2012.12.01 19:55

이규 조회 수:1230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혹

 

燕雀鴻鵠-군자와 소인배는 차원이 다름


흔히 ‘次元이 다르다’는 말을 한다.  莊子에 보면 ‘하루살이 버섯은 그늘을 모르고, 매미는 가을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次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새 중에서도 次元이 다른 것이 있다.  기러기나 고니는 그 큰 몸집에다 높은 蒼空을 훨훨 날아 다닌다.  그래서 이 두 새는 예부터 ‘君子’의 象徵이었다.  반면 제비나 참새는 기껏해야 땅위를 스치듯 날며 모기 따위의 보잘 것 없는 벌레나 잡아 먹고 산다.  따라서 九萬里 蒼空을 나는 기러기나 고니의 氣像을 알기나 하랴.
  陳勝(字는 涉)은 秦나라 末期 한 부잣집의 일개 머슴이었다.  하루는 밭을 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歎息이 나왔다.  “將次 큰 인물이 되면 결코 오늘을 잊지 않으리라!”  그러자 周圍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고 나섰다.  “뭣이라고?  머슴인 주제에 큰 인물이 되겠다고?”  陳勝은 안타까운 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雄大한 抱負를 알랴!”
  後에 陳勝은 吳廣과 함께 反旗를 들면서 有名한 말을 남겼다.  “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을소냐?”  이 때부터 燕雀은 ‘小人輩’, 鴻鵠은 ‘君子’를 뜻하게 되었다.
  一部에서 鴻鵠(홍혹)을 ‘홍곡’으로 발음하는데 鵠이 ‘과녁’을 뜻하는 경우(正鵠, 鵠的 등)가 아니면 ‘혹’으로 發音하는 것이 옳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717
83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628
82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289
81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597
80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569
79 古 稀 셀라비 2014.09.22 1258
78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584
77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191
76 白 眉 셀라비 2014.09.26 1249
75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419
74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220
73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263
72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706
71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354
70 蛇 足 셀라비 2014.10.24 1505
69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377
68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224
67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248
66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301
65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