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85
어제:
293
전체:
754,152

秋毫

2013.02.03 21:16

이규 조회 수:1286


秋 가을 추
毫 털 호


 秋毫-가을에 돋는 동물의 가는 털  미세함 상징

 


  秋는 벼(禾)가 햇빝(火)을 받아 여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가을’을 뜻한다.  毫는 毛와 高가 결합한 뒤 글자의 美觀을 위해 一部를 省略했다.  그런데 高는 ‘높다’는 뜻외에 ‘크다’, ‘遠大하다’, ‘길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곧 毫는 ‘길고도 가는 털’로 붓을 만드는데 자주 使用되었다.  大體로 양이나 산토끼, 족제비 털이 쓰였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 족제비의 꼬리 털로 만든 붓은 낭미필(狼尾筆)이라 하여 中國에서도 特上品으로 認定해 주었다.  그래서 毫는 ‘붓’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어 휘호(揮毫)라는 말도 있다.
  秋毫라면 ‘가을의 털’이 된다.  대체로 動物들은 여름에 실컫 먹고 가을이 되면 털갈이를 한다.  묵은 털이 빠지고 새로 나기 때문에 가을의 털은 몹시 여리고 가늘다.  솜털이라고나 할까.  여기에서 秋毫는 극히 微細한 存在를 뜻하게 되었다.
  孟子는 百姓을 중히 여기는 王道政治를 主張했던 사람이다.  齊나라의 宣王을 만나 自身의 政治觀을 披瀝할 機會가 있었다.  宣王이 자신도 王道政治를 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거기에 答했다.
  “三千 근(斤)을 족히 드는 力士가 새의 날개 하나를 들지 못하고 가을의 털끝{秋毫}까지 볼 수 있는 자가 수레에 가득 실은 장작 더미는 보지 못합니다.”  그것은 宣王이 王道政治를 할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그런 意志가 없음을 탓한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1840
83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1845
82 臨 終 이규 2013.08.01 1847
81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1852
80 千字文 이규 2013.10.12 1859
79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861
78 겻불 셀라비 2015.04.12 1865
77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1866
76 蹴 鞠 이규 2013.07.16 1868
75 紛 糾 이규 2013.09.25 1877
74 셀라비 2015.04.02 1878
73 郊 外 이규 2013.07.28 1881
72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1882
71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1884
70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1889
69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1892
68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1895
67 조바심하다 셀라비 2015.04.30 1896
66 敎 育 이규 2013.09.23 1900
65 조카 이규 2015.04.21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