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494
어제:
698
전체:
730,813

leekyoo

건배(乾杯) 문화가 아닌 ‘수작(酬酌)’ 문화였던 한국, 그것에서 유래한 수작 부리다
우리가 술을 마시면 늘 건배라는 말을 달고 살지만, 실은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건배란 단어는 한 번도 등장하질 않는다. 대신 등장하는 단어는 바로 ‘수작(酬酌)’.
갚을 수(酬), 따를 작(酌)이라 하여, 술을 주고받고 나눈다는 뜻이며 술잔을 돌린다는 뜻이다. 그리고 술을 통한 대화를 한다는 의미이다. 한 번에 다 마셔야 하고 잔을 부딪치는 건배와는 다른 문화이다. 오래간만에 친구들끼리 회포를 풀며 탁주 한 잔을 나눌 때, 지나가던 주모에게 잔을 건네면 주모가 어디서 수작을 청하냐는 말이 변하여 수작 부린다는 뜻으로 이어졌다고 전해진다.

참고로 건배 문화는 원래 고대 바이킹족이 시작이라고 해석한다. 당시 쓰던 잔은 대부분 뿔잔, 아래쪽이 뾰족한 형태다 보니 잔을 세울 수 없었고, 늘 다 마셔야 했다. 한마디로 원샷. 마를때까지 다 마시라는 건배(乾杯)란 의미와도 같다. 잔을 부딪치는 풍습은 적들과 화친을 할 때, 술잔을 부딪혀서 잔 속의 술을 서로 섞음으로써 독을 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였고, 이러한 것이 대륙을 건너 중국으로 왔으며, 일본이 답습하고, 우리나라까지 전해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크게 결정한다는 의미의 ‘작정(酌定)’. 알고 보면 술 따르는 양을 정한다는 뜻
지금이야 술을 담을 때 속이 훤히 보이는 유리병을 많이 사용하지만, 불과 100년 전만 해도 호리병, 또는 나무통이었다. 이렇다 보니 병 속에 내용물이 얼마나 있는지 몰랐고, 따라서 얼마큼 따를 수 있는 지도 잘 몰랐던 시대다. 여기서 파생된 단어가 바로 ‘작정’. 따를 작(酌), 정할 정(定). 즉, 상황을 보고 술의 양을 정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작정하지 않으면 술잔에 술이 한없이 넘쳐 흘렸고, 보는 이는 이것을 작정이 없다고 하여 무작정(無酌定)이라 불렀다. 결국 술이 워낙 귀했기에 작정이란 말이 결정한다는 뜻으로 이어졌다고 해석된다.

보이지 않는 술의 양을 헤아린다는 ‘짐작(斟酌)’, 이제는 헤아리다란 뜻으로
짐작이란 헤아릴 짐(斟), 따를 작(酌)이다. 따르는 양을 생각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술잔을 보고 또는 상대방이 얼마나 마실 수 있는가, 좋아하는가, 싫어하는가를 보고 예상해 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같이 마셨다는 ‘참작(參酌)’, 그래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말로
법정 드라마를 보면, 죄질이 무거운데도 상황을 이해하여 형량을 줄인다는 '정상참작'이란 말을 쓰곤 한다. 여기서 참작이란 참여할 참(參), 그리고 따를 작(酌)이다. 즉 같이 술을 따르던 자리에 있다고 직역된다. 좀 더 풀이하자면, 같은 상황, 나아가 같은 사회에 있기 때문에 책임이 오직 한 사람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며, 상황을 헤아린다는 뜻으로 이어진다.

술 마시기 전에 먹었던 음식 ‘주전부리(酒前喙)’. 음(音)과 훈(訓)이 하나 된 단어
간식이나 가벼운 음식을 자주 먹는다는 의미로 주전부리를 부린다는 말이 있다.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술을 마시기 전(酒前), 새의 부리 홰(喙)처럼 콕콕 찍어 먹는다는 뜻으로 말 그대로 거한 밥상이 아닌 포크로 찍어 먹는 듯한 의미다. 동시에 새처럼 쉬지 않고 계속 찍어대며 먹는다는 뜻도 있다. 흥미로운 것은 주전은 음독(音讀)인데 부리는 훈독(訓讀)을 사용했다는 것. 아마도 부리 훼(喙)란 단어를 쓰기보다는 그냥 부리라고 하는 것이 훨씬 와 닿아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일에 대한 보상을 술로 줬다는 뜻의 ‘보수(報酬)’. 
보수란 단어를 잘 보면, 갚을 보(報), 갚을 수(酬)다. 여기서의 수의 부수는 술 유(酉). 술로 갚는다는 뜻이다. 이유는 술로 (지금 말로) 월급을 주기도 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동양만 있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서양 역시 중세 시대 농노들에게 일한 대가로 맥주를 지급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본 역시 쌀과 같이 화폐처럼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술 유(酉)가 들어가 있는 말은 술 관련 유래가 있어
술 유(酉)가 들어간 말은 술 관련 유래가 무척 많다. 대표적으로 의술 의(醫)도 그 중 하나이다. 아플 예(殹)를 받치고 있는 것이 술 유(酉)이고, 이를 통해 치유한다는 뜻. 약이 부족했던 시대에 술이 얼마나 약으로 쓰였는가를 알 수 있다.

같은 한자권인 중국과 일본은 많이 쓰지 않는 단어
모두가 한자에서 유래한 것이긴 하지만, 수작, 짐작, 작정 등의 단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단어로 한국에서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가장 술을 사랑한다는 말은 어폐가 있지만, 그만큼 삶 속에서 술과 관련한 다양한 문화가 있었다는 반증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한국의 술 문화는 취하는 것 중심의 획일화된 모습, 어쩌면 그 해답을 멀리 있는 와인이나 위스키 등에서 찾는 것이 아닌 해학과 풍류가 있던 우리 전통주에서 찾아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G
M
T
음성 기능은 200자로 제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