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61
어제:
1,186
전체:
764,550

拔苗助長

2013.04.04 22:17

이규 조회 수:1717

拔뺄발
苗싹묘
助도울조
長길장

 

 서두르다 오히려 일을 망침


  孟子가 강조한 것은 內面의 修養이었다.  天賦的인 선한 성품을 열심히 갈고 닦으면 누구나 聖人君子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유명한 ‘性善說’이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행동으로 실천해 보였다.  열심히 공부하고 수양한 결과 나이 마흔이 되어서는 일체 외부의 誘惑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될 수 있었다고 한다.  마치 孔子가 誘惑에 빠지지 않았던 것처럼.  그래서 孔子의 不惑이나 孟子의 不動心은 모두 나이 ‘마흔’을 가리킨다.  그 不動心은 浩然之氣를 기름으로써 가능하지만 서둘러서는 안된다고 하면서 弟子 공손추(公孫丑)에게 다음과 같은 古事를 들려준다.
  옛날 宋나라의 어떤 어리석은 농부가 자기 논의 벼가 남들 것 보다 키가 작은 것같자 벼의 순을 모조리 뽑아 올려 놓았다.  키는 같아졌지만 벼가 하얗게 말라 죽었음은 물론이다.
  우리 속담에도 ‘아무리 바빠도 바늘 허리 꿰어 못쓴다’는 말이 있다.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이다.  하물며 인간이 수양을 하는데 있어서랴.
  孔子도 비슷한 말을 했다.  “欲速不達(빨리 가려다 오히려 이르지 못한다).”  너무 서두르기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번쯤 음미해도 좋을 것 같다.
  拔苗助長은 줄여 助長이라고도 한다.  물론 좋은 뜻으로 쓰이지는 않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704
263 斷 機 셀라비 2014.02.18 1713
262 鷄 肋 이규 2014.05.15 1713
261 關 係 LeeKyoo 2013.12.22 1714
»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17
259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20
258 旱 魃 셀라비 2014.04.04 1720
257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722
256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728
255 娑 魚 셀라비 2014.06.03 1730
254 面 目 셀라비 2014.01.30 1733
253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734
252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735
251 義 擧 이규 2013.10.21 1736
250 狡 猾 셀라비 2014.03.13 1736
249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737
24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37
247 報勳 이규 2013.07.14 1738
246 餓 鬼 셀라비 2013.12.17 1740
245 西 洋 셀라비 2014.03.02 1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