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4
어제:
1,186
전체:
764,643

不俱戴天

2013.04.30 21:34

이규 조회 수:1423

不아닐불
俱함께구
戴머리일대
天하늘천


하늘을 함께 할 수 없는 철천지 원수

 

  不俱戴天은 ‘하늘 아래 함께 존재할 수 없다’가 되어 반드시 죽여야만 할 ‘철천지 원수’를 뜻한다.  ‘不俱戴天의 원수’라고도 한다.  中國 映畵를 보면 아버지나 스승의 怨讐를 갚기 위해 一生을 바쳐가면서 追跡해 마침내 죽이는 場面이 많이 나온다.  中國에서는 예로부터 아버지나 스승의 怨讐를 갚기 위해 復讐하는 것은 義로운 行動으로 勸獎한다.  이에 대한 名文 規定도 있다.  古代 禮義 經典이라 할 수 있는 [禮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아버지의 怨讐와는 함께 하늘을 일 수 없고, 兄弟의 怨讐는 집에 가서 武器를 가지고 나올 사이가 없다.  怨讐를 갚기 위해 늘 武器를 携帶해야 하며 길거리에서 보는 즉시 죽여야 한다.  또 친구의 怨讐와는 나라를 같이해 살 수 없다.   역시 죽여야 한다.”
  이처럼 끔직한 規定을 두고 있는 것은 당시 社會的인 背景과 關係가 있다.  곧 古代 中國은 氏族社會였던 만큼 血族은 가장 重視되는 人間 關係였다.  게다가 家父長制度였던 만큼 아버지의 存在는 絶對的이었다.  따라서 아버지의 權威를 繼承할 長子(자식)와의 關係, 곧 父子關係는 家庭의 骨幹으로 여겨졌으며 嚴格한 縱的인 바탕위에서 維持되어 왔다.  여기에서 强調된 것이 孝이다.  自然히 아버지를 죽인 怨讐와는 하늘을 함께 할 수 없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477
83 兩立 이규 2012.12.13 1474
82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69
81 割據 셀라비 2012.11.09 1469
8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66
79 國 家 이규 2013.06.10 1461
78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60
77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59
76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53
75 周 年 이규 2013.06.20 1446
74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42
73 告由文 이규 2013.07.08 1442
7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41
71 文 字 이규 2013.07.06 1434
70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433
69 古 稀 셀라비 2014.09.22 1432
6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427
67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27
66 洪水 이규 2013.02.02 1426
65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