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0
어제:
1,101
전체:
763,453

有備無患

2012.11.12 21:42

이규 조회 수:1517

有 있을 유
備 준비 비
無 없을 무
患 근심 환

 

有備無患-대비가 돼 있으면 근심이 사라짐.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는 말이 있다.  形便이 좀 나아지면 ‘내가 언제 그랬느냐’는 듯 쉬이 잊어 버리곤 한다.

열심히 노력해 좀 살게 되었는가 했더니 어느새 過消費가 문제다. 

이래 가지고는 닦쳐 올 危機에 對處할 수 없다. 

豊足할수록 窮乏했던 때를 생각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미리미리 對備해야 한다.
  春秋時代 진(晋)의 도공(悼公)에게는 사마위강(司馬魏絳)이라는 忠臣이 있었다. 

그 때 오랑캐 나라 무종국(無終國)이 和親을 目的으로 使臣과 함께 珍奇한 禮物을 바쳐왔다.  하지만 悼公은 冷淡했다. 

“녀석들은 信義도 없고 貪慾스럽기 그지 없소. 차라리 拒絶하고 치는 것이 어떻겠소?”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이 自請해서 和親을 要求해 왔다는 것은 晋으로는 커다란 幸運이 아닐 수 없습니다. 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結局 그의 建議대로 和親을 맺고 晋은 外患을 줄일 수 있었다.
  몇년 뒤, 晋은 司馬魏絳의 勞力으로 超强大國이 될 수 있었다. 

悼公이 그에게 金銀寶貨를 下賜하자 司馬魏絳은 정중히 拒絶하면서 말했다. 

“便安할 때에 危機를 생각하십시오{居安思危}.  그러면 對備를 하게되며{思則有備},

對備 態勢가 되어 있으면 근심이 사라지는 법입니다{有備則無患}”
  이리하여 悼公은 마침내 그의 도움으로 패업(覇業)을 이루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189
483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21
482 至孝 이규 2012.10.29 1943
481 審判 이규 2012.10.30 1858
480 景福 셀라비 2012.10.31 1462
479 省墓 이규 2012.11.01 1472
478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00
477 光化門 이규 2012.11.03 1677
47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484
475 復舊 이규 2012.11.05 1595
474 城郭 이규 2012.11.06 1546
473 國會 이규 2012.11.07 1887
472 閏月 이규 2012.11.08 2915
471 割據 셀라비 2012.11.09 1438
470 寒心 이규 2012.11.10 1812
469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677
»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17
467 世代 이규 2012.11.13 1571
466 慢慢的 이규 2012.11.15 1522
465 聖域 이규 2012.11.16 1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