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76
어제:
1,186
전체:
764,865

簞食瓢飮

2013.04.17 20:30

이규 조회 수:1543

簞도시락단
食밥사
瓢표주박표
飮마실음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음식


  簞은 본디 대나무(竹)로 엉성하게(單) 얽은 작은 소쿠리를 뜻하며, 食는 破音字로 ‘먹다’일 때는 ‘식’, ‘밥’일 때는 ‘사’로 發音한다.  따라서 簞食瓢飮은 ‘도시락 밥과 표주박 속의 국’으로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飮食을 뜻한다.  줄여서 簞瓢라고 한다.
  孔子는 一生동안 무려 3천명의 弟子를 두었는데 그증 가장 寵愛했던 弟子는 顔回(일명 顔淵)였다.  首弟子중의 首弟子였던 셈이다.  그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우쳤으며 워낙 학문을 좋아해 나이 29세에 벌써 白髮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德行이 뛰어나 스승인 孔子 자신도 때로 그로 부터 배울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나 造物主는 그에게 뛰어난 才能과 함께 家難을 안겨 주었다.
  그는 찢어지게 家難해 끼니 거르기를 밥먹듯 했으며 平生 지게미 조차 배물리 먹어본 조차 없을 정도였다.  그 뿐인가.  나이 서른 하나에 夭折하고 말았으니 孔子가 오죽했으면 그의 죽음을 두고 ‘하늘 탓’이라고 恨歎했을까.  그러나 그는 家難을 運命인양 받아들이고 늘 樂天的으로 살았으며 德 닦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래서 孔子는 그를 讚嘆해마지 않았다.
  “장하구나 顔回여!  簞食瓢飮과 누추한 뒷골목에 살면서도 不平이 없구나.  그럼에도 聖人의 道를 追求하기 餘念이 없으니 이 얼마나 장한가.”
  물론 지금 顔回와 같은 삶을 要求할 수는 없다.  그러나 衣食住가 解決된 지금 과연 正道를 걷고 있는 者가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54
363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59
362 慢慢的 이규 2012.11.15 1562
361 所聞 이규 2013.02.01 1562
360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62
359 菽麥 이규 2013.02.02 1564
358 前 轍 이규 2013.06.24 1567
357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68
356 瓦斯 이규 2013.02.12 1568
355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73
354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76
353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76
352 秋霜 이규 2013.02.04 1581
351 關 鍵 이규 2013.05.14 1582
350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82
349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82
348 出 馬 이규 2013.06.04 1584
347 刑罰 이규 2013.02.01 1586
346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86
345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