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5
어제:
1,101
전체:
763,558

割據

2012.11.09 22:43

셀라비 조회 수:1445

割 벨 할

據 의지할 거

 

割據- 특정지역을 배타적으로 지배함

 

割據란 어떤 地域을 根據地로 삼아 排他的, 獨立的으로 勢力을 펼치는 것을 뜻한다. 

그 割據의 弊端을 가장 뼈저리게 經驗했던 民族이 中國 사람들이다. 

3천여년전 周를 세운 武王은 땅이 너무 넓어 全國을 잘라 王族과 開國 功臣들에게 나누어 주고 다스리게 했다. 

소위 封建制度다.
  封建制度의 특징은 철저한 地方 自治에 있다. 

그 결과 王의 權威가 서 있을 때는 잘 다스려졌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諸侯들간 弱肉强食은 물론 王의 자리까지 노리는 下剋上 풍조까지 발생했다. 

그 대표적인 것이 春秋戰國 시대이다.
  이를 통일한 秦始皇은 割據의 弊端과 統一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자신의 權威를 높이기 위해 ‘皇帝’라는 말을 만들었으며 君臣間의 관계를 天壤之差로 벌려 놓았다.  專制政治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그는 또한 군현제(郡縣制)를 실시, 강력한 중앙집권제를 이룩했으며 나아가 제도, 문자, 도량형, 사상 등 모든 분야에서 통일을 추구하였다.

유명한 분서갱유(焚書坑儒)는 그가 ‘統一’을 追求하던 過程에서 일어났던 不可避한 事件이었다. 

中國 歷史에서 5백년에 걸친 割據는 결과적으로 커다란 災殃을 招來했다.
  한창 戰爭이 熾烈하던 戰國時代 末期, 孟子가 양(梁)의 양왕(襄王)을 만나자 양왕이 대뜸 물었다. 

“어떻게 하면 天下가 안정되겠소?‘ 

”그야 물론 하나로 통일해야지요“ 

孟子의 대답이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席 捲 이규 2013.05.31 1914
123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15
122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16
121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18
120 標 榜 이규 2013.08.10 1918
119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21
118 執牛耳 이규 2013.11.15 1924
117 沐浴 [1] 이규 2013.04.08 1928
116 誣 告 이규 2013.07.24 1928
115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33
114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35
113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37
112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38
111 賞 春 이규 2013.08.15 1944
110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46
109 快 擧 이규 2013.07.21 1951
108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952
107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54
106 至孝 이규 2012.10.29 1955
105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