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64
어제:
257
전체:
762,366

메타포와 선입견

2012.11.08 22:22

셀라비 조회 수:4082

메타포가 가진 자유로운 힘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선 고정관념을 떨쳐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우선 ‘선입견(先入見)’에서 벗어나야 한다. 우리가 맨 처음 했던 생각들이 계속 이어지면 고정관념이 되기 때문이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열어구(列禦寇)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열자(列子)’를 보면 ‘의심암귀(疑心暗鬼)’라는 고사성어의 유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어떤 나무꾼이 평소 아끼던 소중한 도끼를 잃어버렸다.

분명 누군가 훔쳐갔다고 생각하자 아무래도 이웃집 아이가 수상쩍어 보이기 시작했다.

길에서 마주치면 왠지 슬금슬금 피하는 것 같고, 안색도 어둡고, 평소와 다르게 말도 더듬거리는 것 같았다.

그는 ‘저 녀석이 내 도끼를 훔쳐간 게 틀림없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그는 지난번 나무를 하러 간 곳에 도끼를 놓고 온 것 같았다.

그 자리에 가보니 도끼가 그대로 있었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이웃집 아이를 만났는데, 이번에는 아이의 얼굴이 밝아 보였다.

말투도 또박또박하고, 자신에게 친근감마저 보이는 것 같았다.



나무꾼의 선입견은 곧 고정관념이 돼 버렸다.

선입견에서 시작되는 고정관념은 세상의 모든 사물과 현상을 자신의 입맛대로 해석하고 재단하는 필터가 되고 만다.

그 이외의 모든 가능성과 창의성은 배제되고 마는 것이다.

선입견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처음 했던 자신의 생각을 확신하지 말고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열린 입장을 취해야 한다.

메타포의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다른 가능성은 모두 스스로 봉쇄한 채 ‘A는 A´나 A´´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확신은 실천으로 가는 중요한 배경이 되지만 섣부른 확신은 다른 가능성을 닫아 메타포의 역동성을 사라지게 만든다.

자신이 확신하는 것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자.

그리고 그것이 선입견에 의해 방해받지는 않았는지 생각해보자.

선입견이 사라질 때 우리는 메타포의 역동적인 힘과 함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남훈 경제 경영 전문작가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40100000113/3/70040100000113/20121108/50695934/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1334
63 내일부터 이규 2012.12.05 2532
62 鷄肋 [1] 홍석균 2012.12.04 3269
61 누구와 교제를 할 것인가? 이규 2012.12.04 2412
60 經竹書難 홍석균 2012.12.03 2867
59 희망을 말하라. [1] 이규 2012.12.03 3316
58 遣牙相制 홍석균 2012.12.02 2439
57 黔驢之技 홍석균 2012.12.01 2258
56 부러움 이규 2012.12.01 2399
55 乾坤一擲 홍석균 2012.11.30 2520
54 비전이 있는 행동 이규 2012.11.30 2866
53 居安思危 홍석균 2012.11.29 2500
52 대의를 위해... 이규 2012.11.29 2396
51 車水馬龍 홍석균 2012.11.28 2252
50 아무 도전도 하지 않는 것이 진짜 위험한 것이다. 이규 2012.11.28 2925
49 開門而揖盜 홍석균 2012.11.27 2942
48 비범한 사람들의 특징 이규 2012.11.26 2268
47 强弩之末 [1] 홍석균 2012.11.26 3241
46 성공한 사람들은 미련하게 참는다 [1] 이규 2012.11.26 2415
45 刻舟求劍 [1] 홍석균 2012.11.25 2342
44 피리의 가격 이규 2012.11.25 3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