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27
어제:
257
전체:
762,429

한자 動 亂

2013.09.16 20:35

이규 조회 수:1770

動 亂

움직일

어지러울

 

 

625 민족적 비극.

 

 

은 무거운() ()을 뜻한다. 옛날에 논밭을 갈거나 野生 짐승을 잡을 때는 힘이 必要했다. 그래서 본디 움직인다는 것은 生存方便으로서 좋은 意味였다. 그런데 에 오면 다른 나라를 치기 위해 움직였다. 물론 무거운 힘이 따랐다. 初期 形態를 보면 얼레에 마구 얽혀 있는 실을 女人精誠스레 풀어헤치는 模襲이다. 그래서 자는 形態로는 混亂」,機能的側面에서는 整理라는 뜻을 同時에 가지고 있다. 이것을 반훈(反訓뜻을 역으로 취함)이라고 한다. 論語에 보이는 亂臣혼란에 빠뜨리는 臣下가 아닌 나라를 잘 다스리는 臣下라는 뜻이다.

生存에서 남을 치는 것으로 그 目的이 바뀜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은 戰爭意味하게 됐으며, 戰爭混亂隋伴했으므로 이었던 셈이다. 그래서 漢字에서 으로 이루어진 單語치고 좋은 뜻을 가진 것이 그리 많지 않다. 動搖, 亂動, 煽動, 騷動, 蠢動, 策動, 衝動. 이처럼 움직이는것을 싫어했으므로 우리나 中國은 예로부터 가만히 있어야 했다. 兩班은 비가 와도 달려서는 안됐다. 그랬다가는 경거망동(輕擧妄動)이 되며百姓壓制에 참다못해 움직이면(일어나면) 暴動으로 賣渡하곤 했다.

이 곧 임은 우리가 일찍이 體驗했던 바다. 625近代史에 있어 씻을 수 없는 民族悲劇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열심히 움직여야 하는, 時代. 그렇다고이 되어서는 안되겠다. 안분수기(安分守己),各自 分水를지킬 때 可能하지 않을까. 民族的 悲劇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도 그래야 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至孝 이규 2012.10.29 1919
103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21
102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22
101 發祥地 이규 2013.10.20 1923
100 問 鼎 이규 2013.11.23 1927
99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27
98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27
97 改 閣 이규 2013.08.26 1932
96 苦 杯 이규 2013.08.03 1933
95 人 倫 이규 2013.07.29 1938
94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38
93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38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44
91 사리 셀라비 2015.04.18 1945
90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57
89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58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62
87 千字文 이규 2013.10.12 1974
86 持 滿 이규 2013.11.28 1976
85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