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3
어제:
1,101
전체:
763,486

城郭

2012.11.06 21:29

이규 조회 수:1547

城 성   성
郭 성곽 곽

 

城郭- 안, 밖의 성 지칭

 

옛날 外敵으로부터 百姓의 生命과 財産을 保護하기 위해 쌓은 防禦物이 城이다. 

우리나라는 産地가 많아 山城이 발달했고, 四角形 보다는 長方形이 많다. 

어떤 경우든 初期에는 주로 흙{土}을 사용해 만들었으므로{成} 城이라 했다.

후에 오면 돌이나 벽돌과 같은 단단한 材料를 사용해 城을 쌓게 된다.


  萬里長城도 본디 흙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므로 王朝가 바뀔 때마다 補修하느라 國力을 消耗하였다.

그래서 나중에는 돌이나 벽돌 같은 것을 사용해 만들게 되었는데 현재 우리가 보는 것은 明나라 초기 때의 것으로 6백년 정도 되었다.


  중요한 곳에는 城을 두겹으로 쌓았다. 안쪽의 것을 城, 또는 內城이라 하고 바깥쪽의 것을 郭, 또는 外城이라고 불렀다.

서울의 경우 四大門을 연결하는 것이 城이라면 바깥쪽의 南漢山城, 北漢山城은 郭에 해당하는 셈이다. 

그런데 서울처럼 都邑地에 있는 城이라면 특별히 王城, 宮城, 皇城이라고 했으며, 郭을 羅城이라고 불렀다.


 城門이나 城을 지키기 위해 城門앞에 또 다른 조그만한 圓形의 城을 쌓기도 했는데 마치 항아리 같이 생겼다 하여 옹성(甕城)이라고 불렀다. 

郭을 함락시킨 外敵은 城까지 넘보게 되었으므로 甕城의 役割은 그만큼 重要했다.  그래서 대체로 崔精銳 兵士들이 決死的으로 지켰으므로 철옹성(鐵甕城)이라는 말이 나왔다.
  그런데 鐵甕城마저 陷落되면 이제는 사직(社稷)이 危殆롭게 된다.

 

이 때는 다들 성안으로 들어가 城門을 굳게 잠그고 지키게 되는데 이것이 농성(籠城)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33
42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407
422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24
421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743
4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588
41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450
41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392
417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366
41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44
415 蛇 足 셀라비 2014.10.24 1737
41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568
41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895
41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394
41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353
41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624
40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386
40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342
40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07
40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403
40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