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43
어제:
776
전체:
770,779

復舊

2012.11.05 20:48

이규 조회 수:1722

復 회복할 복
舊 옛 구

 

復舊- 옛모습을 회복함

 

復은 ‘걷는다’의 뜻과  ‘反復’의 뜻이 結合된 것으로 ‘回復, 再次, 다시’의 뜻이 있다.  그런데 復은 파음자(破音字․여러 발음을 가진 글자)로서 ‘再次, 다시’의 境遇 뜻에는 ‘부’로 읽는다.  反復(반복), 收復(수복), 光復(광복), 回復(회복)과 復活(부활), 復興(부흥)이 있다.
  舊는 풀 초 (艸), 새 추(추),절구 구(臼)의 結合으로 풀이나 절구와 관계되는 새로 알기 쉽지만 甲骨文을 보면는 새의 귀깃{耳羽}, 臼는 새집{소․巢}의 모습이다.  현재의 해서(楷書)로 정착되면서 많이 바뀐 탓이다. 

곧 舊는 귀깃 달린 새가 둥지{臼}위에 앉아 있는 形狀으로 본디 ‘부엉이’를 뜻했다.
 후에 ‘舊’가 ‘옛날’을 뜻하는 신구(新舊)의 ‘舊’로 전용(轉用) 되었으므로 ‘부엉이’를 뜻하는 새로운 글자를 만들게 되었는데 부엉이는 夜行性이라서 낮에는 꼼짝도 않고 앉아 있다. 그것이 사람의 눈에는 ‘빈둥빈둥 놀기만 하는 새’로 비쳐 새를 뜻하는 鳥에 休(놀 휴)자를 덪붙여 지금의 休鳥(부엉이 휴)자를 만들게 되었다.
  舊殼(구각 - 옛틀), 舊臘(구랍), 舊式(구식), 舊態依然(구태의연), 親舊(친구)가 있다.
  곧 復舊는 ‘옛모습을 회복한다’는 뜻으로 본디는 옛 制度나 風俗을 회복하는 것을 뜻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39
363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42
362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95
361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803
360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69
359 沐浴 [1] 이규 2013.04.08 2045
35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93
357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301
356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867
355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703
354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34
353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777
352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604
351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914
350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841
349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609
348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771
347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47
346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857
345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2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