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48
어제:
1,101
전체:
763,451

復舊

2012.11.05 20:48

이규 조회 수:1594

復 회복할 복
舊 옛 구

 

復舊- 옛모습을 회복함

 

復은 ‘걷는다’의 뜻과  ‘反復’의 뜻이 結合된 것으로 ‘回復, 再次, 다시’의 뜻이 있다.  그런데 復은 파음자(破音字․여러 발음을 가진 글자)로서 ‘再次, 다시’의 境遇 뜻에는 ‘부’로 읽는다.  反復(반복), 收復(수복), 光復(광복), 回復(회복)과 復活(부활), 復興(부흥)이 있다.
  舊는 풀 초 (艸), 새 추(추),절구 구(臼)의 結合으로 풀이나 절구와 관계되는 새로 알기 쉽지만 甲骨文을 보면는 새의 귀깃{耳羽}, 臼는 새집{소․巢}의 모습이다.  현재의 해서(楷書)로 정착되면서 많이 바뀐 탓이다. 

곧 舊는 귀깃 달린 새가 둥지{臼}위에 앉아 있는 形狀으로 본디 ‘부엉이’를 뜻했다.
 후에 ‘舊’가 ‘옛날’을 뜻하는 신구(新舊)의 ‘舊’로 전용(轉用) 되었으므로 ‘부엉이’를 뜻하는 새로운 글자를 만들게 되었는데 부엉이는 夜行性이라서 낮에는 꼼짝도 않고 앉아 있다. 그것이 사람의 눈에는 ‘빈둥빈둥 놀기만 하는 새’로 비쳐 새를 뜻하는 鳥에 休(놀 휴)자를 덪붙여 지금의 休鳥(부엉이 휴)자를 만들게 되었다.
  舊殼(구각 - 옛틀), 舊臘(구랍), 舊式(구식), 舊態依然(구태의연), 親舊(친구)가 있다.
  곧 復舊는 ‘옛모습을 회복한다’는 뜻으로 본디는 옛 制度나 風俗을 회복하는 것을 뜻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逆 鱗 셀라비 2014.02.03 1726
223 社 會 셀라비 2014.03.18 1726
222 風塵 이규 2013.02.06 1727
221 杜鵑花 이규 2013.02.13 1727
220 痼 疾 이규 2013.11.07 1728
219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729
218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731
217 玉 石 LeeKyoo 2014.02.12 1731
216 秀 才 셀라비 2014.03.19 1734
215 法 曹 이규 2013.08.13 1735
214 蛇 足 셀라비 2014.10.24 1736
213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737
212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737
211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738
210 氷上人 이규 2013.08.23 1740
209 物 色 이규 2013.11.05 1740
208 詭 辯 이규 2013.09.14 1742
207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745
206 朝 野 이규 2013.08.14 1749
205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