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59
어제:
305
전체:
766,492

한자 春困症

2013.07.27 19:08

이규 조회 수:1917


春봄춘
困곤할곤
症병증세증

 

 

 봄철 나른하고 졸음이 오는 증세


 식곤증(食困症)은 食事後에 몸이 나른하고 졸음이 오는 症勢다. 그런데 봄만 되면 잊지 않고 찾아오는 症勢가 있다.괜히 여기 저기 몸이 아픈 것 같고 나른하며 졸립다. 이름하여 춘곤증(春困症)이다.
 「일장춘몽(一場春夢)」의 古事가 있다. 人間의 부귀영화(富貴榮華)도 알고보면 「덧없는 한때의 꿈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冬至섣달 긴긴밤에꾸는 꿈이라면 그나마 영화(榮華)도 길으련만 나른한 봄날 春困症 때문에 꾼 꿈은그야말로 잠시가 아닌가.
 맹호연(孟浩然․689~740년)이라면 唐나라 때 사람으로 전원(田園)과 은둔(隱遁)생활을 주로 읊은 詩人이다. 어느 봄날 春困症이 찾아와 깜빡 잠이들었는데 그만 아침 동이 트고서도 한참 있다가 일어났다. 알고 보니 간밤에 비가 온 것 같았다. 하지만 맑게 갠 봄날 아침은 그 어느 때보다 상큼했으며 여기에 새 소리까지들려오니 얼마나 韻致가 넘쳤겠는가.그래서 卽興的으로 붓을 들어 詩 한수를 썼다.
   春眠不覺曉(춘면불각효) ― 곤히 자다보니 날새는 줄 몰랐네
  處處聞啼鳥(처처문제조) ― 여기 저기 들려오는 새들의 노래
  夜來風雨聲(야래풍우성) ― 밤새 비바람 몰아쳤는데
  花落知多少(화락지다소) ― 꽃잎은 얼마나 떨어졌을까.
 유명한 「춘효」(春曉)라는 오언절구(五言絶句)다. 나른한 봄날이면 누구나경험할 수 있는 일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飜覆 이규 2013.01.29 1359
443 分 野 이규 2013.05.20 1372
442 干 支 이규 2013.05.19 1376
441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376
440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377
439 赦免 [1] 이규 2013.01.27 1382
438 寸志 이규 2013.02.06 1393
437 波紋 이규 2013.01.27 1394
436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96
435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97
434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410
433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411
432 同盟 이규 2012.12.10 1415
431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18
430 園頭幕 이규 2013.02.02 1423
429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429
428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33
427 氾濫 이규 2012.12.26 1436
426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40
425 秋毫 이규 2013.02.03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