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6
어제:
284
전체:
767,394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545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黃 砂 이규 2013.07.18 1899
203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611
202 蹴 鞠 이규 2013.07.16 2113
201 報勳 이규 2013.07.14 1789
200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005
199 颱 風 이규 2013.07.12 1532
198 梅 雨 이규 2013.07.11 1830
197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1843
196 坐 礁 이규 2013.07.09 1864
195 告由文 이규 2013.07.08 1477
194 文 字 이규 2013.07.06 1478
193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98
192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91
191 傾 聽 이규 2013.07.03 1577
190 讀 書 이규 2013.06.30 1725
189 釋迦牟尼 이규 2013.06.27 1847
188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648
187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711
186 前 轍 이규 2013.06.24 1592
185 陳 情 이규 2013.06.23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