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84
어제:
1,179
전체:
765,252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509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沐浴 [1] 이규 2013.04.08 1966
363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64
362 標 榜 이규 2013.08.10 1963
361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58
360 道 路 이규 2013.08.17 1958
359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58
358 席 捲 이규 2013.05.31 1957
357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55
356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954
355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51
354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46
353 櫛 比 이규 2013.08.08 1946
352 國會 이규 2012.11.07 1944
351 雲 集 이규 2013.08.09 1941
350 奇蹟 이규 2012.12.06 1941
349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37
348 猪 突 이규 2013.11.27 1935
347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34
346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34
345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