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09
어제:
783
전체:
770,069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572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前 轍 이규 2013.06.24 1619
123 侍 墓 이규 2013.06.21 1619
122 矛 盾 셀라비 2014.08.19 1618
121 所聞 이규 2013.02.01 1618
120 籌備 이규 2012.12.28 1618
119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14
118 頭 角 이규 2013.06.07 1613
117 菽麥 이규 2013.02.02 1612
116 名分 이규 2013.02.11 1611
115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606
114 人質 이규 2012.12.27 1604
113 戰 國 이규 2013.06.09 1599
112 西 方 이규 2013.05.23 1598
111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97
110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97
10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95
108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93
107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91
10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90
105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