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3
어제:
1,101
전체:
763,556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468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出 嫁 이규 2013.12.03 1658
303 鴛 鴦 이규 2013.12.01 1838
302 持 滿 이규 2013.11.28 2030
301 猪 突 이규 2013.11.27 1879
300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712
299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740
298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643
297 問 鼎 이규 2013.11.23 1987
296 壓 卷 이규 2013.11.18 1866
295 貢 獻 이규 2013.11.16 1779
294 執牛耳 이규 2013.11.15 1922
293 角 逐 셀라비 2013.11.14 1791
292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53
291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751
290 痼 疾 이규 2013.11.07 1750
289 猖 獗 이규 2013.11.06 1715
288 物 色 이규 2013.11.05 1761
287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715
286 雲 雨 셀라비 2013.11.02 1585
285 鼓 舞 이규 2013.11.01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