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40
어제:
1,101
전체:
763,643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474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秋霜 이규 2013.02.04 1563
143 觀 察 셀라비 2014.03.28 1562
142 刑罰 이규 2013.02.01 1562
141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60
140 出 馬 이규 2013.06.04 1560
139 關 鍵 이규 2013.05.14 1559
138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58
137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56
136 城郭 이규 2012.11.06 1554
135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47
134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46
133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45
132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42
131 瓦斯 이규 2013.02.12 1541
130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40
129 所聞 이규 2013.02.01 1539
128 菽麥 이규 2013.02.02 1538
127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37
126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34
125 頭 角 이규 2013.06.07 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