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02
어제:
783
전체:
770,062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571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00
323 不惑 이규 2012.12.17 1701
322 誘 致 이규 2013.06.17 1702
321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03
320 膺懲 이규 2013.02.18 1706
319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07
318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09
317 復舊 이규 2012.11.05 1710
316 師表 이규 2013.02.04 1710
315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15
314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15
313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18
312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20
311 破廉恥 이규 2012.11.24 1722
310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23
309 文化 이규 2012.12.03 1725
308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28
307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34
306 凱 旋 yikyoo 2014.06.11 1735
305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