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5
어제:
1,186
전체:
764,724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496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28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39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71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27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70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30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96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51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81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66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79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18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08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20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66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53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06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97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45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