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44
어제:
1,186
전체:
764,533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482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雲 集 이규 2013.08.09 1915
263 標 榜 이규 2013.08.10 1939
262 法 曹 이규 2013.08.13 1776
261 朝 野 이규 2013.08.14 1776
260 賞 春 이규 2013.08.15 1968
259 舊 臘 이규 2013.08.16 2157
258 道 路 이규 2013.08.17 1925
257 瓦 解 이규 2013.08.18 1878
256 總 統 이규 2013.08.19 2155
255 火 箭 이규 2013.08.20 1827
254 裁 判 이규 2013.08.21 2304
253 氷上人 이규 2013.08.23 1770
252 改 閣 이규 2013.08.26 2002
251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082
250 監 獄 이규 2013.09.02 2307
249 中 國 이규 2013.09.03 1886
248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093
247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97
246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900
245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