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98
어제:
1,101
전체:
763,401

한자 歸 順

2013.07.23 20:01

이규 조회 수:1853

歸돌아갈귀
順순할순


 투항하여 복종함

 


 歸의 추(빗자루 추)는 빗자루를 쥔 「부인」,止는 안식처인 시댁(媤宅)을 의미하므로 歸는 여성의 「결혼」을 뜻한다. 親庭에서 媤宅으로 돌아가는 것이므로 後에 歸는 「돌아가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順은 川과 頁(머리 혈)의 結合이다. 頁이 사람의 머리(얼굴 포함)를 뜻한다(頂․項․顔․額․領등). 어쩐지 首(머리 수)와 비슷하다. 곧 順은 머리를 냇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한다는 뜻으로 「순종 」을 意味한다. 순서(順序)․순응(順應)․온순(溫順)이 있다.
 따라서 歸順이라면 婦人이 시집살이를 잘 하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도 있지만 後에 발전된 뜻은 「적에게 투항해 복종하는 것 」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적개심(敵愾心)이나 拒逆하는 마음을 버려야 하므로 歸順의 전 단계는 기역(棄逆․저항심을 버림 )이다. 대체로 敵의 軍卒이나 將帥가 投降해와 服從하는 것을 意味한다. 單純한 投降과 다른 점은 純全히 자의(自意)에 의한 決定이라는 점과 敵愾心을 포기하고 順從을 택했다는 점이다. 歸順의 代表的인 경우로는 항우(項羽)를 버리고 유방(劉邦)에 게 갔던 한신(韓信)을 들 수 있다.
 탈북(脫北)亡命者와 歸順者가 계속 나오고 있다. 亡命이나 歸順의 共通點은 「불만」에 있다. 정말 北韓이 「흔들리고」있는 모양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誣 告 이규 2013.07.24 1899
363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896
362 知 音 셀라비 2014.03.24 1894
361 席 捲 이규 2013.05.31 1892
360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887
359 奇蹟 이규 2012.12.06 1886
358 國會 이규 2012.11.07 1886
357 道 路 이규 2013.08.17 1885
356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883
355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882
354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880
353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879
352 雲 集 이규 2013.08.09 1876
351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875
350 花 信 셀라비 2013.08.02 1875
349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75
348 櫛 比 이규 2013.08.08 1873
347 幣 帛 이규 2013.10.13 1862
346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860
345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