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93
어제:
257
전체:
761,695

한자 歸 順

2013.07.23 20:01

이규 조회 수:1800

歸돌아갈귀
順순할순


 투항하여 복종함

 


 歸의 추(빗자루 추)는 빗자루를 쥔 「부인」,止는 안식처인 시댁(媤宅)을 의미하므로 歸는 여성의 「결혼」을 뜻한다. 親庭에서 媤宅으로 돌아가는 것이므로 後에 歸는 「돌아가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順은 川과 頁(머리 혈)의 結合이다. 頁이 사람의 머리(얼굴 포함)를 뜻한다(頂․項․顔․額․領등). 어쩐지 首(머리 수)와 비슷하다. 곧 順은 머리를 냇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한다는 뜻으로 「순종 」을 意味한다. 순서(順序)․순응(順應)․온순(溫順)이 있다.
 따라서 歸順이라면 婦人이 시집살이를 잘 하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도 있지만 後에 발전된 뜻은 「적에게 투항해 복종하는 것 」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적개심(敵愾心)이나 拒逆하는 마음을 버려야 하므로 歸順의 전 단계는 기역(棄逆․저항심을 버림 )이다. 대체로 敵의 軍卒이나 將帥가 投降해와 服從하는 것을 意味한다. 單純한 投降과 다른 점은 純全히 자의(自意)에 의한 決定이라는 점과 敵愾心을 포기하고 順從을 택했다는 점이다. 歸順의 代表的인 경우로는 항우(項羽)를 버리고 유방(劉邦)에 게 갔던 한신(韓信)을 들 수 있다.
 탈북(脫北)亡命者와 歸順者가 계속 나오고 있다. 亡命이나 歸順의 共通點은 「불만」에 있다. 정말 北韓이 「흔들리고」있는 모양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如意 이규 2012.12.04 3168
443 焦眉 이규 2012.12.05 1524
442 奇蹟 이규 2012.12.06 1855
441 覇權 이규 2012.12.08 1165
440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1963
43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862
438 民心 이규 2012.12.09 1439
437 同盟 이규 2012.12.10 1330
436 賂物 이규 2012.12.11 1368
43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568
434 電擊 이규 2012.12.13 1117
433 兩立 이규 2012.12.13 1421
432 不惑 이규 2012.12.17 1562
431 犧牲 이규 2012.12.18 1266
430 管轄 이규 2012.12.20 1523
429 氾濫 이규 2012.12.26 1342
428 人質 이규 2012.12.27 1466
427 籌備 이규 2012.12.28 1465
426 憲法 이규 2012.12.29 1123
425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