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77
어제:
257
전체:
762,379

한자 嘗 糞

2013.07.19 22:08

이규 조회 수:1688


嘗맛볼상
糞똥분


 변을 맛봄 … 지극한 효성 의미

 

 옛날에는 효(孝)를 오륜(五倫)의 으뜸이자 백행(百行)의 根本으로 여겼던 만큼 이에 관한 설화(說話)도 많다. 자기부모의 藥으로 삼기 위해 죽였는데 알고 보니 동삼(童蔘)이었다는 이야기,또 심청의 이야기 등은 孝의 극치(極致)라 할 수 있다. 中國에도 비슷한 이야기는 많다. 남북조(南北朝)때 유검루(庾黔縷)는 이름난 孝子였다. 그의 孝行에 感動해 平素 出沒하던 호랑이가 自炊를 감추기도 했다.
 그가 잔릉(棧陵)의 현령(縣令)으로 있을 때 아버지의 病患 소식을 듣고 즉시 官職을 파하고 돌아갔다.『병세(病勢)를 알기 위해서는 변의 맛을 봐야 하오.』 의원(醫員)의 말에 검루는 즉시 손가락으로 변을 찍어 맛보았다. 마침 아버지는 痢疾에 걸려 심한 泄瀉(설사)를 하고 있던 중이었다. 달고 매끄러운 것이 여간 심상치 않았다. 이때부터 그는 매일 밤 북진(北辰․북극성)에 빌었다.그의 孝心에 하늘도 感動했는지 소리가 들려왔다.『수명은 다했다.다만 너의 孝誠을 봐서 이달말까지만 延長해 주겠다.』
 과연 아버지는 그달 그믐에 죽었으며 검루는 삼년간 「시묘(侍墓)」했다. 이때부터 상분(嘗糞)은 至極한 孝誠을 뜻하게 되었다.「嘗糞」은 또한 「아첨의 극치」를 뜻하기도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480
123 西 方 이규 2013.05.23 1478
122 傾 聽 이규 2013.07.03 1477
121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476
120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475
119 出 馬 이규 2013.06.04 1474
118 籌備 이규 2012.12.28 1473
117 人質 이규 2012.12.27 1472
116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471
115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469
114 杞 憂 셀라비 2014.06.05 1468
113 似而非 이규 2013.03.21 1463
112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59
111 頭 角 이규 2013.06.07 1459
110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458
109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458
108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456
107 戰 國 이규 2013.06.09 1455
106 省墓 이규 2012.11.01 1455
105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