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1
어제:
783
전체:
770,111

한자 嘗 糞

2013.07.19 22:08

이규 조회 수:1869


嘗맛볼상
糞똥분


 변을 맛봄 … 지극한 효성 의미

 

 옛날에는 효(孝)를 오륜(五倫)의 으뜸이자 백행(百行)의 根本으로 여겼던 만큼 이에 관한 설화(說話)도 많다. 자기부모의 藥으로 삼기 위해 죽였는데 알고 보니 동삼(童蔘)이었다는 이야기,또 심청의 이야기 등은 孝의 극치(極致)라 할 수 있다. 中國에도 비슷한 이야기는 많다. 남북조(南北朝)때 유검루(庾黔縷)는 이름난 孝子였다. 그의 孝行에 感動해 平素 出沒하던 호랑이가 自炊를 감추기도 했다.
 그가 잔릉(棧陵)의 현령(縣令)으로 있을 때 아버지의 病患 소식을 듣고 즉시 官職을 파하고 돌아갔다.『병세(病勢)를 알기 위해서는 변의 맛을 봐야 하오.』 의원(醫員)의 말에 검루는 즉시 손가락으로 변을 찍어 맛보았다. 마침 아버지는 痢疾에 걸려 심한 泄瀉(설사)를 하고 있던 중이었다. 달고 매끄러운 것이 여간 심상치 않았다. 이때부터 그는 매일 밤 북진(北辰․북극성)에 빌었다.그의 孝心에 하늘도 感動했는지 소리가 들려왔다.『수명은 다했다.다만 너의 孝誠을 봐서 이달말까지만 延長해 주겠다.』
 과연 아버지는 그달 그믐에 죽었으며 검루는 삼년간 「시묘(侍墓)」했다. 이때부터 상분(嘗糞)은 至極한 孝誠을 뜻하게 되었다.「嘗糞」은 또한 「아첨의 극치」를 뜻하기도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誘 致 이규 2013.06.17 1705
323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09
322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09
321 膺懲 이규 2013.02.18 1713
3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14
319 復舊 이규 2012.11.05 1718
318 不惑 이규 2012.12.17 1718
317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19
316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20
315 師表 이규 2013.02.04 1721
314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23
313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26
312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27
311 破廉恥 이규 2012.11.24 1731
310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32
309 文化 이규 2012.12.03 1733
308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36
307 凱 旋 yikyoo 2014.06.11 1738
306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1
305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