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468
어제:
257
전체:
761,870

한자 瓦 解

2013.08.18 18:47

이규 조회 수:1778

瓦 解

기와

해체할

 

 

기와처럼 와르르 무너짐

 

 

는 지붕 위의 기와가 포개져 있는 模樣을 본떠 만든 글자다. 그런데 기와는 쉽게 박살이 난다. 그래서 와합지졸(瓦合之卒)이라면 기왓장과 같은 별 보잘 것 없는 軍士烏合之卒과 같은 뜻이 된다. 또 기와는 흙으로 빚어 구워낸 것 중 가장 단순한 것이므로, 土器代名詞가 되어 로 이루어진 글자를 보면 대개 질그릇一種임을 알 수 있다. (화병 병)(자기 자)(독 옹)등이 그렇다. 한편 는 칼()로 소()의 뿔()을 자르는 模襲에서 나왔다. 따라서 의 뜻은 쪼개다」「풀다가 된다. 해결(解決)해답(解答)오해(誤 解)화해(和解)등 많다.

瓦解는 본디 토붕와해(土崩瓦解)에서 나온 말로 기와가 와르르 무너지는 것을 말한다. 일단 무너진 기왓장은 박살이 나므로 다시 쓸 수 없다. 따라서 瓦解끝장意味하기도 한다.

秦始皇中國 最初天下 統一偉業達成했다. 그러나 진제국(秦帝國)도 그가 죽자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내려 불과 15년만에 하고 만다. 이처럼 기막힌 崩壞를 두고 사마천(司馬遷)은 이렇게 말했다.

황하의 물이 터지면 걷잡을 수 없으며 썩은 물고기는 다시 소생시킬 수 없다. 천하가 기울자 나라는 마치 흙처럼 붕괴하고(土崩) 기왓장처럼 와르르무너지고(瓦解)말았다. 』 『사기(史 記)에 나오는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셀라비 2015.04.02 2058
423 조바심하다 셀라비 2015.04.30 2055
422 겻불 셀라비 2015.04.12 2036
421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030
420 雁 書 셀라비 2014.02.04 2026
419 郊 外 이규 2013.07.28 2021
418 百 姓 이규 2013.10.06 2020
417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2017
416 敎 育 이규 2013.09.23 2004
415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003
414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003
413 臨 終 이규 2013.08.01 2003
412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002
411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00
410 杜鵑 이규 2013.03.20 2000
409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1991
408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1986
407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1980
406 紛 糾 이규 2013.09.25 1979
405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