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9
어제:
257
전체:
762,491

한자 瓦 解

2013.08.18 18:47

이규 조회 수:1810

瓦 解

기와

해체할

 

 

기와처럼 와르르 무너짐

 

 

는 지붕 위의 기와가 포개져 있는 模樣을 본떠 만든 글자다. 그런데 기와는 쉽게 박살이 난다. 그래서 와합지졸(瓦合之卒)이라면 기왓장과 같은 별 보잘 것 없는 軍士烏合之卒과 같은 뜻이 된다. 또 기와는 흙으로 빚어 구워낸 것 중 가장 단순한 것이므로, 土器代名詞가 되어 로 이루어진 글자를 보면 대개 질그릇一種임을 알 수 있다. (화병 병)(자기 자)(독 옹)등이 그렇다. 한편 는 칼()로 소()의 뿔()을 자르는 模襲에서 나왔다. 따라서 의 뜻은 쪼개다」「풀다가 된다. 해결(解決)해답(解答)오해(誤 解)화해(和解)등 많다.

瓦解는 본디 토붕와해(土崩瓦解)에서 나온 말로 기와가 와르르 무너지는 것을 말한다. 일단 무너진 기왓장은 박살이 나므로 다시 쓸 수 없다. 따라서 瓦解끝장意味하기도 한다.

秦始皇中國 最初天下 統一偉業達成했다. 그러나 진제국(秦帝國)도 그가 죽자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내려 불과 15년만에 하고 만다. 이처럼 기막힌 崩壞를 두고 사마천(司馬遷)은 이렇게 말했다.

황하의 물이 터지면 걷잡을 수 없으며 썩은 물고기는 다시 소생시킬 수 없다. 천하가 기울자 나라는 마치 흙처럼 붕괴하고(土崩) 기왓장처럼 와르르무너지고(瓦解)말았다. 』 『사기(史 記)에 나오는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72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288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13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675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21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70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36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688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24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14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27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62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60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49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298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298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29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44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488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