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3
어제:
257
전체:
762,485

한자 瓦 解

2013.08.18 18:47

이규 조회 수:1807

瓦 解

기와

해체할

 

 

기와처럼 와르르 무너짐

 

 

는 지붕 위의 기와가 포개져 있는 模樣을 본떠 만든 글자다. 그런데 기와는 쉽게 박살이 난다. 그래서 와합지졸(瓦合之卒)이라면 기왓장과 같은 별 보잘 것 없는 軍士烏合之卒과 같은 뜻이 된다. 또 기와는 흙으로 빚어 구워낸 것 중 가장 단순한 것이므로, 土器代名詞가 되어 로 이루어진 글자를 보면 대개 질그릇一種임을 알 수 있다. (화병 병)(자기 자)(독 옹)등이 그렇다. 한편 는 칼()로 소()의 뿔()을 자르는 模襲에서 나왔다. 따라서 의 뜻은 쪼개다」「풀다가 된다. 해결(解決)해답(解答)오해(誤 解)화해(和解)등 많다.

瓦解는 본디 토붕와해(土崩瓦解)에서 나온 말로 기와가 와르르 무너지는 것을 말한다. 일단 무너진 기왓장은 박살이 나므로 다시 쓸 수 없다. 따라서 瓦解끝장意味하기도 한다.

秦始皇中國 最初天下 統一偉業達成했다. 그러나 진제국(秦帝國)도 그가 죽자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내려 불과 15년만에 하고 만다. 이처럼 기막힌 崩壞를 두고 사마천(司馬遷)은 이렇게 말했다.

황하의 물이 터지면 걷잡을 수 없으며 썩은 물고기는 다시 소생시킬 수 없다. 천하가 기울자 나라는 마치 흙처럼 붕괴하고(土崩) 기왓장처럼 와르르무너지고(瓦解)말았다. 』 『사기(史 記)에 나오는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30
103 至孝 이규 2012.10.29 1932
102 發祥地 이규 2013.10.20 1935
101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36
100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39
99 改 閣 이규 2013.08.26 1941
98 問 鼎 이규 2013.11.23 1945
97 苦 杯 이규 2013.08.03 1945
96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48
95 人 倫 이규 2013.07.29 1949
94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51
93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51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61
91 사리 셀라비 2015.04.18 1964
90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65
89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71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78
87 千字文 이규 2013.10.12 1984
86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89
85 持 滿 이규 2013.11.28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