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71
어제:
1,101
전체:
763,674

窮鼠齧猫

2013.07.17 20:58

이규 조회 수:1564


窮궁할궁
鼠쥐서
齧깨물설
猫고양이묘


 궁지에 몰린 쥐 고양이를 문다.

 

  환관(桓寬)의 「염철론(鹽鐵論)」은 西漢時代 소금과 製鐵의 管轄權을 놓고 公務員과 知識人들간에 벌어졌던 討論의 記錄이다.  意見이 兩分되어 朝廷을 代辯한 어사대부(御史大夫-검찰총장) 상홍양(桑弘羊)은 現在의 國家 專賣制度를 的極 贊成한 反面, 知識人들은 激烈히 反對하고 나섰다.  討論은 後에 國家 統治方法으로까지 飛火되었다.
  桑弘羊을 비롯한 公務員들은 嚴한 法을 통한 法治를, 知識人들은 禮治를 主張했다.  桑弘羊측이 歷史的 事例를 들어 嚴한 法이야말로 最高의 統治方法이라고 力說하자, 知識人들은 秦始皇 때를 例를 들면서 嚴한 法때문에 民生은 塗炭에 빠지고 法을 이기지 못한 百姓들이 到處에서 蹶起(궐기)해 秦나라는 結局 15년만에 亡했다고 反駁(반박)했다.  곧 嚴한 法보다 仁義에 의한 統治를 主張한 것이다.
  그들은 그것을 고양이와 쥐의 關係에 比喩해 窮鼠齧猫라고 했다.  쥐는 고양이만 보면 오금을 못펴지만 막다른 골목에 처하면 고양이를 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지금 北韓의 狀況을 보면 막다른 골목에 내몰린 쥐와 같다는 느낌이 든다.  內憂外患에 孤立無援의 現 難局을 打開하기 위해 對南 挑發을 自行하면서 오히려 ‘造作劇’이라고 뒤집어 씌운다.  이 모든 것이 常識으로 理解하기 어렵다.  마치 쥐가 고양이를 무는 것처럼.  막판에 몰렸으니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일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慢慢的 이규 2012.11.15 1536
363 頭 角 이규 2013.06.07 1536
362 前 轍 이규 2013.06.24 1537
361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38
360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39
359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39
358 菽麥 이규 2013.02.02 1541
357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42
356 所聞 이규 2013.02.01 1543
355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44
354 瓦斯 이규 2013.02.12 1548
353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50
352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51
351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52
350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53
349 城郭 이규 2012.11.06 1562
348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63
347 秋霜 이규 2013.02.04 1565
346 關 鍵 이규 2013.05.14 1565
»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