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34
어제:
1,186
전체:
764,523

審判

2012.10.30 19:56

이규 조회 수:1903

審  살필   심
判  판단할 판

 

審判- 잘잘못을 명확히 가림

 

審은  면  (지붕 면), 采(가릴 변), 田(밭 전)의 결합이다.    이 지붕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집’을 뜻한다. 家(집 가), 安(편안할 안), 室(집 실), 字(글자 자), 官(벼슬 관) 등이 그 예이다.
 采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동물의 발가락(발톱) 모습이다.  대체로 눈이나 모래 위에 나있는 발자국을 보면 그 동물의 종류를 가려낼 수 있다.  그래서 ‘구별하다(辨)’, ‘가리다(擇)’의 뜻을 가지고 있다.  釋(풀이할 석)도 여기서 나온 글자다.
 한편 田은 여기에서는 ‘밭’이 아니라 동물의 발바닥이다. 그러니까 番(순서 번)은 본디 동물의 발자국을 뜻하는 글자로 여기서 후에 ‘구별’, ‘순서’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審의 본 뜻은 ‘집(法廷)에서 是是非非를 가리는 것’이다.  審問(심문), 審査(심사), 不審檢問(불심검문), 豫審(예심)이 있다.
  判은  刀와 半의 결합으로 ‘칼로 반쪽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判은 본래 뜻은 ‘쪼개다’였다. 그런데 어떤 사물이든지 둘로 나누면 確然(확연)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判 역시 ‘구별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判決(판결), 判異(판이), 談判(담판), 批判(비판) 등 많다.
 곧, 審判은 法官이 法廷에서 法律에 根據, 良心에 따라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나무를 쪼개듯 명확하게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幣 帛 이규 2013.10.13 1903
343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01
342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900
341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97
340 歸 順 이규 2013.07.23 1897
339 選 良 이규 2013.08.07 1895
338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892
337 壓 卷 이규 2013.11.18 1886
336 中 國 이규 2013.09.03 1885
33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82
334 瓦 解 이규 2013.08.18 1878
333 春困症 이규 2013.07.27 1878
332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73
331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72
330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71
329 家 庭 이규 2013.07.25 1869
328 拍 車 셀라비 2013.12.19 1868
327 鴛 鴦 이규 2013.12.01 1863
326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61
325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