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0
어제:
1,101
전체:
763,563

審判

2012.10.30 19:56

이규 조회 수:1875

審  살필   심
判  판단할 판

 

審判- 잘잘못을 명확히 가림

 

審은  면  (지붕 면), 采(가릴 변), 田(밭 전)의 결합이다.    이 지붕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집’을 뜻한다. 家(집 가), 安(편안할 안), 室(집 실), 字(글자 자), 官(벼슬 관) 등이 그 예이다.
 采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동물의 발가락(발톱) 모습이다.  대체로 눈이나 모래 위에 나있는 발자국을 보면 그 동물의 종류를 가려낼 수 있다.  그래서 ‘구별하다(辨)’, ‘가리다(擇)’의 뜻을 가지고 있다.  釋(풀이할 석)도 여기서 나온 글자다.
 한편 田은 여기에서는 ‘밭’이 아니라 동물의 발바닥이다. 그러니까 番(순서 번)은 본디 동물의 발자국을 뜻하는 글자로 여기서 후에 ‘구별’, ‘순서’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審의 본 뜻은 ‘집(法廷)에서 是是非非를 가리는 것’이다.  審問(심문), 審査(심사), 不審檢問(불심검문), 豫審(예심)이 있다.
  判은  刀와 半의 결합으로 ‘칼로 반쪽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判은 본래 뜻은 ‘쪼개다’였다. 그런데 어떤 사물이든지 둘로 나누면 確然(확연)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判 역시 ‘구별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判決(판결), 判異(판이), 談判(담판), 批判(비판) 등 많다.
 곧, 審判은 法官이 法廷에서 法律에 根據, 良心에 따라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나무를 쪼개듯 명확하게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06
323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28
322 淘 汰 이규 2013.05.28 1597
321 露 骨 이규 2013.05.29 1245
320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11
319 席 捲 이규 2013.05.31 1916
318 正 鵠 이규 2013.06.02 1577
317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682
316 出 馬 이규 2013.06.04 1553
315 蜂 起 이규 2013.06.05 1595
31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46
313 頭 角 이규 2013.06.07 1527
312 戰 國 이규 2013.06.09 1514
311 國 家 이규 2013.06.10 1438
310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15
309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673
30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93
307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38
306 誘 致 이규 2013.06.17 1607
305 迎 入 [1] 이규 2013.06.18 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