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6
어제:
284
전체:
767,394

審判

2012.10.30 19:56

이규 조회 수:1960

審  살필   심
判  판단할 판

 

審判- 잘잘못을 명확히 가림

 

審은  면  (지붕 면), 采(가릴 변), 田(밭 전)의 결합이다.    이 지붕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집’을 뜻한다. 家(집 가), 安(편안할 안), 室(집 실), 字(글자 자), 官(벼슬 관) 등이 그 예이다.
 采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동물의 발가락(발톱) 모습이다.  대체로 눈이나 모래 위에 나있는 발자국을 보면 그 동물의 종류를 가려낼 수 있다.  그래서 ‘구별하다(辨)’, ‘가리다(擇)’의 뜻을 가지고 있다.  釋(풀이할 석)도 여기서 나온 글자다.
 한편 田은 여기에서는 ‘밭’이 아니라 동물의 발바닥이다. 그러니까 番(순서 번)은 본디 동물의 발자국을 뜻하는 글자로 여기서 후에 ‘구별’, ‘순서’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審의 본 뜻은 ‘집(法廷)에서 是是非非를 가리는 것’이다.  審問(심문), 審査(심사), 不審檢問(불심검문), 豫審(예심)이 있다.
  判은  刀와 半의 결합으로 ‘칼로 반쪽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判은 본래 뜻은 ‘쪼개다’였다. 그런데 어떤 사물이든지 둘로 나누면 確然(확연)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判 역시 ‘구별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判決(판결), 判異(판이), 談判(담판), 批判(비판) 등 많다.
 곧, 審判은 法官이 法廷에서 法律에 根據, 良心에 따라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나무를 쪼개듯 명확하게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跛行 이규 2013.03.18 1557
383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57
382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60
381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60
380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561
37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63
378 人質 이규 2012.12.27 1565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65
376 戰 國 이규 2013.06.09 1565
375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66
374 討 伐 이규 2013.03.17 1566
373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67
37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74
371 傾 聽 이규 2013.07.03 1577
370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78
369 西 方 이규 2013.05.23 1578
368 名分 이규 2013.02.11 1580
367 頭 角 이규 2013.06.07 1580
366 侍 墓 이규 2013.06.21 1582
365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