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7
어제:
305
전체:
766,510

審判

2012.10.30 19:56

이규 조회 수:1946

審  살필   심
判  판단할 판

 

審判- 잘잘못을 명확히 가림

 

審은  면  (지붕 면), 采(가릴 변), 田(밭 전)의 결합이다.    이 지붕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집’을 뜻한다. 家(집 가), 安(편안할 안), 室(집 실), 字(글자 자), 官(벼슬 관) 등이 그 예이다.
 采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동물의 발가락(발톱) 모습이다.  대체로 눈이나 모래 위에 나있는 발자국을 보면 그 동물의 종류를 가려낼 수 있다.  그래서 ‘구별하다(辨)’, ‘가리다(擇)’의 뜻을 가지고 있다.  釋(풀이할 석)도 여기서 나온 글자다.
 한편 田은 여기에서는 ‘밭’이 아니라 동물의 발바닥이다. 그러니까 番(순서 번)은 본디 동물의 발자국을 뜻하는 글자로 여기서 후에 ‘구별’, ‘순서’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審의 본 뜻은 ‘집(法廷)에서 是是非非를 가리는 것’이다.  審問(심문), 審査(심사), 不審檢問(불심검문), 豫審(예심)이 있다.
  判은  刀와 半의 결합으로 ‘칼로 반쪽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判은 본래 뜻은 ‘쪼개다’였다. 그런데 어떤 사물이든지 둘로 나누면 確然(확연)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判 역시 ‘구별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判決(판결), 判異(판이), 談判(담판), 批判(비판) 등 많다.
 곧, 審判은 法官이 法廷에서 法律에 根據, 良心에 따라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나무를 쪼개듯 명확하게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073
203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781
202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00
201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864
200 鼓 舞 이규 2013.11.01 1805
199 雲 雨 셀라비 2013.11.02 1661
198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779
197 物 色 이규 2013.11.05 1823
196 猖 獗 이규 2013.11.06 1778
195 痼 疾 이규 2013.11.07 1825
194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813
193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127
192 角 逐 셀라비 2013.11.14 1861
191 執牛耳 이규 2013.11.15 2007
190 貢 獻 이규 2013.11.16 1867
189 壓 卷 이규 2013.11.18 1934
188 問 鼎 이규 2013.11.23 2075
187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694
186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825
185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