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13
어제:
783
전체:
770,073

審判

2012.10.30 19:56

이규 조회 수:2002

審  살필   심
判  판단할 판

 

審判- 잘잘못을 명확히 가림

 

審은  면  (지붕 면), 采(가릴 변), 田(밭 전)의 결합이다.    이 지붕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집’을 뜻한다. 家(집 가), 安(편안할 안), 室(집 실), 字(글자 자), 官(벼슬 관) 등이 그 예이다.
 采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 동물의 발가락(발톱) 모습이다.  대체로 눈이나 모래 위에 나있는 발자국을 보면 그 동물의 종류를 가려낼 수 있다.  그래서 ‘구별하다(辨)’, ‘가리다(擇)’의 뜻을 가지고 있다.  釋(풀이할 석)도 여기서 나온 글자다.
 한편 田은 여기에서는 ‘밭’이 아니라 동물의 발바닥이다. 그러니까 番(순서 번)은 본디 동물의 발자국을 뜻하는 글자로 여기서 후에 ‘구별’, ‘순서’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審의 본 뜻은 ‘집(法廷)에서 是是非非를 가리는 것’이다.  審問(심문), 審査(심사), 不審檢問(불심검문), 豫審(예심)이 있다.
  判은  刀와 半의 결합으로 ‘칼로 반쪽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判은 본래 뜻은 ‘쪼개다’였다. 그런데 어떤 사물이든지 둘로 나누면 確然(확연)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判 역시 ‘구별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判決(판결), 判異(판이), 談判(담판), 批判(비판) 등 많다.
 곧, 審判은 法官이 法廷에서 法律에 根據, 良心에 따라 잘잘못을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나무를 쪼개듯 명확하게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所聞 이규 2013.02.01 1618
363 矛 盾 셀라비 2014.08.19 1618
362 侍 墓 이규 2013.06.21 1619
361 前 轍 이규 2013.06.24 1620
360 傾 聽 이규 2013.07.03 1620
359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622
358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624
357 慢慢的 이규 2012.11.15 1628
356 瓦斯 이규 2013.02.12 1629
355 關 鍵 이규 2013.05.14 1632
354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34
353 刑罰 이규 2013.02.01 1640
35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642
351 秋霜 이규 2013.02.04 1644
350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644
349 長蛇陣 이규 2013.02.03 1646
348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649
347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649
346 杞 憂 셀라비 2014.06.05 1651
345 城郭 이규 2012.11.06 1656